루닛, 국제학술지에 전문의-인공지능 판독 성능 비교 연구 게재
영국 노팅엄대 얀 첸 교수 연구팀 주도
의료진 진단과 인공지능 판독 차이 없어

래디올로지는 미국영상의학회(RSNA)가 발행하는 학술지다. 영상의학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학술지이기도 하다. 논문 피인용지수(Impact Factor)는 19.7이다.
이번 연구는 영국 노팅엄대의 얀 첸 교수 연구팀이 주도했다. 영상의학과 전문의 315명과 유방 임상의 31명 등 552명의 의료진이 참여했다.
연구팀은 2018년 5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영국 국가 유방 검진 프로그램으로 수집한 120건의 진단 사례를 판독했다. 이후 의료진의 판독 결과와 루닛의 솔루션 판독 결과를 비교했다.
이번 연구에는 유방 검진 판독자의 판독 능력을 평가하는 표준화된 평가 방식인 개인 유방촬영술 검사(PERFORMS, Personal Performance in Mammographic Screening)가 활용됐다.
연구 결과 루닛 인사이트 MMG는 전체 의료진과 유사한 수준의 유방암 검출 능력을 보였다.
의료진 552명이 유방암 사례를 정확하게 진단한 민감도(Sensitivity)는 평균 90%였으며, 유방암이 아닌 사례를 정확하게 제외한 특이도(Specificity)는 평균 76%를 기록했다.
루닛의 AI 솔루션의 민감도는 91%, 특이도는 77%로 의료진의 판독 결과와 비슷하거나 다소 높았다.
첸 교수는 “유럽은 전문의가 부족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의료용 AI를 활용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돼 있다”며 “AI가 전문의만큼 유방암을 잘 판독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영국에서 550명 넘는 의사들이 PERFORMS에 참여해 AI와 판독 성능을 직접 비교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라며 “최근 루닛 인사이트 MMG의 기술력을 검증한 연구가 해외 여러 학술지에 소개된 만큼 유럽의 유방암 진단 방식을 변화시키는 데 힘쓰겠다”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SKT, AI 넘어 양자사업까지 확장한다"...美 IonQ와 협력 논의
2한화에어로, 3.6→2.3조 유증도 '제동'…금감원 "2차 정정요구"
3트럼프 지지율, 가파르게 추락…100일도 안돼 '역대 최저치'
4일본에서 난리났다...무신사, K-패션 성공 가능성 입증
5“식료품 맛집”...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 오픈
6이창용 한은 총재 “美 관세에 통화정책 ‘어두운 터널’”(종합)
7퍼스널 아이웨어 ‘브리즘’, 8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8해태아이스, 신제품 4종 출시로 제로 라인업 확대
9한양증권 매각 안갯 속...KCGI, 대주주 적격성 심사 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