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출근길·추석 물류 어쩌나…철도노조 4년 만에 총파업

14일 오전 9시부터 18일 오전 9시까지
노조, 4조 2교대 전면 시행 등 요구사항

서울 지하철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홍다원 기자]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 총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이는 2019년 11월 이후 4년 만이다. 

13일 철도노조 등에 따르면 노조는 14일 오전 9시부터 18일 오전 9시까지 나흘간 1차 총파업에 들어간다. 

철도노조가 지난달 28∼30일 실시한 쟁의행위 찬반투표는 찬성률 64.4%로 가결됐다. 파업이 시작되면 고속철도(KTX) 등 여객 열차와 화물 열차가 20~60%가량 감축 운행되면서 이용객 불편과 업무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철도노조의 총파업 요구사항은 공공철도 확대, 4조 2교대 전면 시행, 성실 교섭 촉구·합의 이행 등이다. 공공철도 확대에 따른 세부 요구사항은 수서행 고속열차 도입, KTX와 수서발 고속열차(SRT) 연결 운행 및 운임 차이 해소, 코레일과 에스알(SR) 통합 등이다.

에스알(SR)이 운영하는 수서고속철도(SRT) 노선이 지난 1일부터 경전·전라·동해선으로 확대되고 경부선 주중 운행은 축소됐다. 철도노조는 수서역 기반 SRT와 서울역 기반 KTX의 분리 운영을 철도 민영화 수순으로 보고 있다.

노조는 “4조 2교대는 야간 이틀 연속근무의 어려움을 개선하려고 마련한 근무 체계로, 노사 합의 사항이지만 4년 넘게 전면 시행이 미뤄지고 있다”며 “철도노동자의 파업은 현장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는 절실한 요구에 기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철도노조는 2019년 11월 20일 ‘4조 2교대’ 근무제 도입을 위한 인력 4000명 충원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고 같은 달 25일 노사 간 협상 타결로 파업을 철회했다.

당시 화물열차 운행률은 20.7%에 불과해 물류대란이 발생했고, KTX 87.5%·일반열차 69.6%·전철 82.4%의 운행률을 각각 기록해 이용객들이 불편을 겪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동반성장 활동 지속”...롯데웰푸드, 창립 58주년 기념 우수 파트너 시상

2증권가 "탄핵 결정으로 불확실성 해소"…남은 것은?

3애경산업, 식목일 맞아 꿈나무마을 파란꿈터 꽃밭 가꾸기

4“집에서 안전하게”...이케아, 베싱엔 시리즈 출시

5“핫플서 제대로 붙자”...유통가 전쟁터 된 성수

6윤석열 파면에 환율 급락…"이제 다시 미국의 시간"

7법원, 발란 회생 절차 개시 결정…“업계 신뢰도 하락·고정비 압박”

8파면 후 중소기업·소상공인 "폐업 급증…경제 살리기 힘써달라"

9구준엽, 무려 12kg 빠져…"처제가 돌보는 중"

실시간 뉴스

1“동반성장 활동 지속”...롯데웰푸드, 창립 58주년 기념 우수 파트너 시상

2증권가 "탄핵 결정으로 불확실성 해소"…남은 것은?

3애경산업, 식목일 맞아 꿈나무마을 파란꿈터 꽃밭 가꾸기

4“집에서 안전하게”...이케아, 베싱엔 시리즈 출시

5“핫플서 제대로 붙자”...유통가 전쟁터 된 성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