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밀크플레이션 현실화...우유 물가 상승률,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 ‘최고치’

발효유 상승률 18년 5개월 만 최대
아이스크림·분유까지 오름폭 확대

사진은 서울 시내 편의점에서 판매 중인 우유 제품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지난달 우유의 물가 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원유 가격 인상 이후 발효유, 분유, 아이스크림 등 가격이 줄줄이 오르면서 ‘밀크플레이션’(밀크+인플레이션)이 현실화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우유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2.03으로 전년동월 대비 14.3% 상승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던 2009년 8월(20.8%) 이후 14년 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발효유 물가 상승률은 14.7%로 2005년 5월(14.7%) 이후 18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아이스크림은 15.2% 오르면서 2009년 4월(26.3%) 이후 14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분유도 10.6%로 오름폭이 대폭 확대됐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우유를 구매하는 시민. [사진 연합뉴스]

업계에서는 이 같은 가격 인상 배경에는 지난달 원유 가격 상승이 있다고 보고 있다. 원유 가격 상승으로 주요 유업체들이 흰 우유를 비롯해 유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했다. 

반면, 라면과 스낵과자는 가격 인하로 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라면 물가 상승률도 6월 13.4%에서 7월 10.0%, 8월 10.7%, 9월 7.5%로 둔화세를 보이다가 지난달에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또 스낵 과자의 물가 상승률도 6월 10.5%에서 7월 8.1%, 8월 7.7%, 9월 6.4%로 둔화세를 이어갔고 지난달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앞서 농심은 지난 7월 신라면과 새우깡 출고가를 인하했고 이어 오뚜기, 삼양식품, 팔도 등 라면업체들도 제품 가격을 인하했다. 롯데웰푸드, 해태제과도 스낵 과자와 비스킷 등의 가격을 내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뉴욕증시, 미중 무역전쟁 우려 속 일제히 상승 마감

2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5개월 만에 2%대

3뉴욕유가, 중국 美원유 보복관세에 하락…WTI 0.6%↓

4중소형 운용사 더 치열해진 ETF 경쟁

5돌반지 하나에 60만원...금값 또 ‘사상 최고’

6"ETF 점유율을 지켜라"...수장 교체 바람도

7현대백화점, 마지막 겨울 아우터 할인 행사 연다

8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 데브시스터즈…향후 전망은?

9빌게이츠 “5년 이내 상용화” 발언에...양자컴株 활활

실시간 뉴스

1뉴욕증시, 미중 무역전쟁 우려 속 일제히 상승 마감

2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5개월 만에 2%대

3뉴욕유가, 중국 美원유 보복관세에 하락…WTI 0.6%↓

4중소형 운용사 더 치열해진 ETF 경쟁

5돌반지 하나에 60만원...금값 또 ‘사상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