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집값 하락에 가구당 자산 감소했다…평균 5억2727만원

거주 주택 자산 10%↓…“통계 작성 이래 첫 자산 감소”
평균 부채 0.2%p 늘어난 9186만원…고금리에 역대 최저 증가율

한 시민이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단지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승훈 기자] 지난해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로 집값이 하락하자 가구 평균 자산이 2000만원 넘게 줄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7일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2727만원으로 1년 전보다 3.7% 감소했다.

가계 자산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2년 통계 작성 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거주 주택 자산이 10% 줄면서 전체 자산 보유액이 축소됐다. 주택 가격 전망이 나빠지면서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가구주 비율도 줄었다.

가구당 평균 부채는 9186만원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다.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부채 역시 통계 작성 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조사 결과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2045만원(3.7%) 감소한 5억2727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354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 줄었다.

가구의 자산 보유액 감소는 집값 하락 영향이 컸다. 금융자산은 1억2587만원으로 3.8% 증가했다. 하지만 실물자산은 4억140만원으로 5.9% 감소했다. 특히 부동산 중 거주 주택이 10.0% 감소했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브리핑에서 “통계 작성 후 처음으로 자산이 감소했다”며 “2021∼2022년 높은 자산 증가율에 따른 기저요인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체 자산 중 금융자산이 23.9%, 실물자산이 76.1%를 차지해 금융자산 구성비가 전년 대비 1.7%포인트(p) 늘어났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452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5억6122만원), 60대 이상(5억4836만원), 39세 이하(3억3615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가구주 종사상지위별로 보면, 자영업자 가구 자산이 6억643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근로자(5억6907만원), 무직 등 기타(4억6278만원), 임시·일용근로자(2억3152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1억7458만원으로, 1분위 가구(1억7287만원)의 6.8배였다. 순자산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5억6085만원으로, 순자산 1분위 가구(3956만원)의 39배에 달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제주항공, 국가유공자 등 신분할인 대상자 탑승 절차 간소화

2현대차·기아, 美 제이디파워 ‘2025 잔존가치상’ 2개 부문 수상

3영풍, 경영정상화 의문…‘매년 1000억’ 환경개선 투자금 어디로

4서울시, 신규 고액 상습 체납자 1599명 공개…평균 5600만원

5배민, 대학 밀키트 사업 지원…지역 인재 양성 기대

6기업 밸류업 펀드 투자개시…“3000억 규모 추가 조성”

7젊을 때 건강 챙겨야...30대 ‘이것’ 소비 늘었다

8임신 초기 유·사산 휴가 5일→10일로 확대…내년 2월 시행

9'못된 손' 교수는 복귀…성추행 피해 제자는 'OUT'

실시간 뉴스

1제주항공, 국가유공자 등 신분할인 대상자 탑승 절차 간소화

2현대차·기아, 美 제이디파워 ‘2025 잔존가치상’ 2개 부문 수상

3영풍, 경영정상화 의문…‘매년 1000억’ 환경개선 투자금 어디로

4서울시, 신규 고액 상습 체납자 1599명 공개…평균 5600만원

5배민, 대학 밀키트 사업 지원…지역 인재 양성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