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집값 하락에 가구당 자산 감소했다…평균 5억2727만원

거주 주택 자산 10%↓…“통계 작성 이래 첫 자산 감소”
평균 부채 0.2%p 늘어난 9186만원…고금리에 역대 최저 증가율

한 시민이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 단지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승훈 기자] 지난해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로 집값이 하락하자 가구 평균 자산이 2000만원 넘게 줄었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7일 발표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2727만원으로 1년 전보다 3.7% 감소했다.

가계 자산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2012년 통계 작성 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거주 주택 자산이 10% 줄면서 전체 자산 보유액이 축소됐다. 주택 가격 전망이 나빠지면서 부동산 투자 의사가 있는 가구주 비율도 줄었다.

가구당 평균 부채는 9186만원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했다. 고금리가 이어지면서 부채 역시 통계 작성 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조사 결과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2045만원(3.7%) 감소한 5억2727만원으로 집계됐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354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 줄었다.

가구의 자산 보유액 감소는 집값 하락 영향이 컸다. 금융자산은 1억2587만원으로 3.8% 증가했다. 하지만 실물자산은 4억140만원으로 5.9% 감소했다. 특히 부동산 중 거주 주택이 10.0% 감소했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브리핑에서 “통계 작성 후 처음으로 자산이 감소했다”며 “2021∼2022년 높은 자산 증가율에 따른 기저요인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체 자산 중 금융자산이 23.9%, 실물자산이 76.1%를 차지해 금융자산 구성비가 전년 대비 1.7%포인트(p) 늘어났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452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40대(5억6122만원), 60대 이상(5억4836만원), 39세 이하(3억3615만원) 등의 순이었다.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가구주 종사상지위별로 보면, 자영업자 가구 자산이 6억6432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근로자(5억6907만원), 무직 등 기타(4억6278만원), 임시·일용근로자(2억3152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소득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1억7458만원으로, 1분위 가구(1억7287만원)의 6.8배였다. 순자산 5분위 가구의 평균 자산은 15억6085만원으로, 순자산 1분위 가구(3956만원)의 39배에 달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헌법재판관 8명 전원 출근...2시간 후 '대한민국 운명 갈린다'

2“고효능·고감도 뷰티 브랜드 총출동”…29CM, ‘이구뷰티위크’ 대형 기획전 개최

3캐나다 "美 자동차에 25% 보복관세 부과할 것"…공동 대응 촉구

4美에 바둑판 짜는 정의선...‘포석’ 깔고 ‘집’ 짓는 현대차그룹

5뉴욕증시, 美 상호관세 충격에 팬데믹 이후 최악…나스닥 6%↓

6뉴욕유가, 트럼프 관세 폭탄에 경기침체 우려로 급락…WTI 6.6%↓

7“삼성, 中 연 매출만 64조원”...이재용, ‘가전→전장’ 공략으로 새 中드라이브

8만원대 청바지로 홀렸다...이랜드 패션 야심작 'NC베이직' 초반 순항

9챗GPT의 '지브리 그림체' 유행이 씁쓸한 이유

실시간 뉴스

1헌법재판관 8명 전원 출근...2시간 후 '대한민국 운명 갈린다'

2“고효능·고감도 뷰티 브랜드 총출동”…29CM, ‘이구뷰티위크’ 대형 기획전 개최

3캐나다 "美 자동차에 25% 보복관세 부과할 것"…공동 대응 촉구

4美에 바둑판 짜는 정의선...‘포석’ 깔고 ‘집’ 짓는 현대차그룹

5뉴욕증시, 美 상호관세 충격에 팬데믹 이후 최악…나스닥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