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세 폐지’ 세수감소 3년간 4조원…“세수 포기” 논란
세수감소 연간 1조원 넘어…과세대상, 투자자의 2.5%

[이코노미스트 마켓in 이승훈 기자] 정부가 금융투자소득세 폐지를 공식화한 가운데, 연간 1조원이 넘는 국세가 덜 걷힐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3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국회 예산정책처는 금융투자소득세가 2025년부터 시행되면 2027년까지 3년간 세수가 4조328억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연평균 세수는 1조3443억원이다.
이는 예정처가 ‘2022년 세법개정안’에 따른 세수 효과를 분석한 결과다. 예정처는 금투세 시행에 따른 세수와 2022년 10월 당시 제도가 유지됐을 때의 세수 차이를 비교했다.
정부가 예고한 대로 금투세가 폐지되면 4조원가량의 세수가 줄어드는 셈이다. 당시 정부도 같은 기간 4조원가량의 세수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금투세는 주식 및 파생상품, 채권 등의 투자 이익에 대해 매기는 세금이다. 상장주식은 5000만원, 기타 금융상품은 250만원이 넘는 이익에 대해 과세한다.
금투세는 당초 2023년 시행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여야 합의를 통해 시행 시기를 2025년으로 연기했다. 정부는 시행 시기를 연기한 데 이어 전날 금투세 폐지를 공식화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겠다는 취지다.
일각에서는 금투세 과세 대상이 소수에 그쳐 주식시장 활성화에 직접 도움이 될지 불확실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획재정부는 2020년 세법개정안을 제출할 당시 과세 대상을 약 15만명으로 예상했다. 2019년 12월 결산 상장법인 주식 소유자(중복 제외) 약 600만명의 2.5%에 해당한다.
정부는 올해 세법개정안에 금투세 폐지를 담을 예정이다. 이와 밀접히 연관된 증권거래세와 주식 양도소득세의 경우 논의를 거쳐 정부안을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양경숙 의원은 “정부가 여야 합의된 사항을 파기하고 있어 정책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면서 “지난해 역대급 세수 감소 상황에서 정부가 향후 부족한 세수를 어떻게 보완할지 대책도 없이 세수 포기를 자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동반성장 활동 지속”...롯데웰푸드, 창립 58주년 기념 우수 파트너 시상
2증권가 "탄핵 결정으로 불확실성 해소"…남은 것은?
3애경산업, 식목일 맞아 꿈나무마을 파란꿈터 꽃밭 가꾸기
4“집에서 안전하게”...이케아, 베싱엔 시리즈 출시
5“핫플서 제대로 붙자”...유통가 전쟁터 된 성수
6윤석열 파면에 환율 급락…"이제 다시 미국의 시간"
7법원, 발란 회생 절차 개시 결정…“업계 신뢰도 하락·고정비 압박”
8파면 후 중소기업·소상공인 "폐업 급증…경제 살리기 힘써달라"
9구준엽, 무려 12kg 빠져…"처제가 돌보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