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등 여파로 4월 서울 '빌라 경매' 건수 18년 만 최다
경매 건수 7개월 연속 1000건 기록
경매 낙찰률 15% 그쳐
![](/data/ecn/image/2024/05/06/ecn20240506000001.800x.0.jpg)
6일 경·공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 빌라(연립·다세대 주택) 법원경매 진행 건수는 총 1456건으로 집계됐다. 월간 기준으로 지난 2006년 5월의 1475건 이후 가장 많았다.
특히 2022년 말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서울 지역 빌라 경매 건수는 지난해 10월 1268건으로, 1000건을 넘기 시작한 이후 7개월 연속 1000건을 웃돌고 있다.
이는 2022년부터 시작된 본격적인 금리 상승과 같은 해 상반기까지 급등했던 전셋값이 이후 급락한 데 따른 영향이다. 이로 인해 역전세와 전세사기 여파가 나타나면서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거나 대출을 갚지 못하는 집주인이 늘며 빌라 경매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 달 경매 진행 건수를 지역별로 보면 강서구가 536건으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양천구와 구로구가 각각 144건, 113건을 기록했다. 이어 관악구(85건), 금천구(87건), 은평구(69건), 강북구(59건), 성북구(45건) 등의 순이다.
지난 달 경매가 진행된 총 1456채의 빌라 중 주인을 찾은 물건은 218채로 낙찰률은 15%에 그쳤다. 경매에 나온 빌라 10채 중 주인을 찾는 물건이 2채도 안 되는 상황이다.
이는 전세보증금 반환 사고와 여전히 높은 금리 상황 탓에 빌라를 외면하는 분위기가 시장에 팽배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빌라 경매 매물은 서울만 아니라 경기 지역에서도 쏟아지고 있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달 경기 지역 빌라 경매 진행 건수는 총 975건으로 2006년 12월(1007건) 이후 가장 많았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정세장 면사랑 대표, ‘한 그릇의 완성’을 위한 길
2시공능력 평가 11년째 1위 자리 고수 중인 삼성물산
3견고한 ‘악순환 고리’... ‘LCC 치킨 게임’의 부작용
4KB증권 'IPO 수장' 유승창 본부장,…"올해도 1위 목표"
5사고에도 ‘흔들림’ 없는 LCC...계속되는 ‘불안한’ 이륙
6배우 김새론, 서울 성동구 자택서 사망…향년 25세
7대전 초등 살해 교사, ‘月100만원’ 공무원연금 평생 받는다
8“지구상 가장 똑똑한 AI”…머스크 야심작 ‘그록3’ 17일 첫선
9"돈 불려줄게, 신분증 좀 빌려줘"…‘명의도용 대출사기’ 피해 주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