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美, 중국산 전기차 관세 100%·태양전지 50%로 대폭인상

대선 앞두고 관세 폭탄

격정적인 표정으로 연설하는 바이든 [AP=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원태영 기자]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바이든 정부가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현재 25%에서 100%로 대폭 인상키로 했다. 또 철강·알루미늄 및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의 관세도 25%로, 반도체와 태양 전지의 관세는 50%로 각각 큰 폭으로 상향된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 및 그에 따른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무역법 301조에 따라 무역대표부(USTR)에 이런 관세 인상을 지시했다고 백악관이 밝혔다.

관세 인상 대상은 중국산 수입품 180억 달러(약 24조6510억원) 규모다. 미국 정부는 우선 올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100%로 인상하기로 했다.

백악관은 보도 자료에서 “상당한 과잉 생산 리스크로 이어지는 광범위한 보조금과 비(非)시장적 관행 속에서 중국의 전기차 수출은 2022년부터 2023년까지 70% 증가해 다른 곳에서의 생산적 투자를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00%의 관세율은 중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으로부터 미국 제조업체를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조치는 미국 노동자들이 미국에서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만들 수 있게 하겠다는 바이든 대통령의 비전을 진전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백악관은 또 ▲ 리튬이온 전기차 배터리 7.5%→25%(연내) ▲ 리튬이온 비(非)전기차 배터리 7.5%→25%(2026년) ▲ 배터리 부품 7.5% → 25%(연내) 등으로 각각 관세를 올린다고 밝혔다.

또 핵심 광물 가운데 천연 흑연 및 영구 자석의 관세는 현재 0%에서 2026년에 25%로 올라간다. 이 외 다른 핵심 광물은 올해 0%에서 25%로 크게 상향된 관세율이 적용된다.

백악관은 “중국의 핵심 광물 채굴 및 정제 능력 집중은 미국의 공급망을 취약하게 만들고 국가 안보 및 청정에너지 목표를 위험에 빠뜨린다”면서 이 같은 관세 인상의 불가피성을 설명했다.

미국 정부는 또 연내 특정한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관세를 현재 0~7.5%에서 25%로 인상키로 했다. 아울러 2025년까지 중국산 반도체에 대한 관세를 현재 25%에서 50%로 인상한다.

백악관은 태양 전지에 대한 관세는 태양 전지 모듈의 조립 여부와 무관하게 25%에서 50%로 올해 일괄적으로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중국의 정책 주도형 과잉생산으로부터 해당 산업을 보호하겠다는 목표다.

이밖에 ▲ STS크레인 0% → 25%(연내) ▲ 주사기 및 바늘 0% → 50%(연내) ▲ 마스크를 비롯한 개인 보호 장비(PPE) 0~7.5% → 25%(연내) ▲ 의료 및 수술용 고무장갑 7.5% → 25%(2026년) 등으로 관세가 크게 상향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수협은행, 방카 전문가 그룹 브랜드 ‘Sh Summit One’ 출범

2“화끈하고 고소해”...오뚜기, ‘열치즈라면’ 용기면 출시

3“뚜레쥬르 맞아?” 압구정에 신규 콘셉트 매장 2호점 오픈

4광화문·한강서 무심코 '이 행동' 했다간 과태료 100만원

5‘홈플러스 사태’ 피해구제안 없는 MBK...곳곳서 파열음 지속

6반려동물 수명연구에 속도… 英 생명과학기업 로얄하운드, 2억3000만 달러 투입

7코스피, 1년 5개월 만에 2300선 붕괴…외인 또 '셀 코리아'

8‘0.1초의 승부사’ 손이천 수석경매사가 말하는 ‘미술품 경매’

9신한은행, 대한법무사협회와 ‘맞손’...“외국인 투자기업에 금융 솔루션 제시”

실시간 뉴스

1수협은행, 방카 전문가 그룹 브랜드 ‘Sh Summit One’ 출범

2“화끈하고 고소해”...오뚜기, ‘열치즈라면’ 용기면 출시

3“뚜레쥬르 맞아?” 압구정에 신규 콘셉트 매장 2호점 오픈

4광화문·한강서 무심코 '이 행동' 했다간 과태료 100만원

5‘홈플러스 사태’ 피해구제안 없는 MBK...곳곳서 파열음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