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고물가·고금리 여파에…중산층 5집 중 1집 ‘적자 살림’

월평균 가계 소득, 1년 전보다 6만8000원 늘어

 사진은 서울 동대문구 경동시장에서 한 시민이 물건을 고르고 있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고물가·고금리와 근로소득 감소가 맞물리면서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가량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였다. 1년 전(26.7%)과 비교하면 0.1%포인트(p) 소폭 증가했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 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이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년 전보다 2.2%p 증가해 18.2%가 됐다. 직전 분기인 4분기(14.8%)와 비교하면 3.4%p 늘었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로 나타났다.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0%p 감소해 60.3%로 개선됐다. 중산층·고소득층 가구 '적자 살림 증가'의 배경에는 고금리·고물가의 장기화와 부진한 소득 증가가 있다.
 
높은 물가와 금리가 계속되면서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증가했지만, 소득이 이를 상쇄할 만큼 늘지 못하면서 적자가 확대된 것이다.
 
1분기 월평균 가계 소득은 1년 전보다 6만8000원(1.4%)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9만9000원(2.5%) 증가했다. 이자 비용도 1만4000원(11.2%) 늘었다.
 
특히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3만5000원(1.1%) 줄며 '역성장'했다. 이에 따라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1분기 3분위·4분위 가구의 지출은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각각 5.4%, 2.7%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근로소득의 증가율은 3분위가 3.8%, 4분위가 0.7%로 부진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불붙은 상법 개정...밸류업 핵심 과제, 증시 발전에 긍정적”

2포켓몬 고, ‘에스파’ 서울 콘서트에 홍보 부스 마련한다

3티웨이항공, 이지드랍 서비스 참여…홍대입구역·인천 거점

4 ‘얼차려 훈련병 사망’ 중대장 등 2명 구속

5SK이노베이션,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ESG 활동 고도화

6신한투자증권, 1200억원 규모 해외 인수금융 주관·셀다운 성료

7신한은행, 강북구와 ‘땡겨요’ 업무협약 체결

8정은보 이사장, ‘밸류업 프로그램’ 글로벌 프로모션 위해 홍콩․싱가포르 출국

9KT, 40만원대 스마트폰 ‘갤럭시 A35 5G’ 공식 출시

실시간 뉴스

1“불붙은 상법 개정...밸류업 핵심 과제, 증시 발전에 긍정적”

2포켓몬 고, ‘에스파’ 서울 콘서트에 홍보 부스 마련한다

3티웨이항공, 이지드랍 서비스 참여…홍대입구역·인천 거점

4 ‘얼차려 훈련병 사망’ 중대장 등 2명 구속

5SK이노베이션,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ESG 활동 고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