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불닭, ‘매운 강도 심했나’…덴마크 리콜에 검색량 폭주

리콜 사태가 ‘불닭’ 제품 홍보 계기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삼양 불닭시리즈. [사진 삼양]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덴마크 정부가 삼양식품 불닭볶음면 제품 3종을 리콜(회수)한 가운데, 불닭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화제가 되고 있다. 

23일 구글 검색 트렌드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불닭’ 검색량은 이달에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검색량은 지난해 10월의 2배이며 작년 3월의 4배 수준이다. 

이달 중 구글 검색량이 최대였던 것은 덴마크의 리콜 발표 직후인 지난 12일이었다.

덴마크 정부는 지난 11일 삼양식품의 핵불닭볶음면 3×스파이시(Spicy), 핵불닭볶음면 2×스파이시, 불닭볶음탕면의 캡사이신 수치가 높아 급성 중독 위험이 있다면서 이들 3종을 현지 시장에서 회수하도록 했다.

일반 불닭볶음면의 매운 정도를 나타내는 스코빌지수는 4400 정도인데 2×핵불닭은 8800, 3×핵불닭은 1만2000이다. 

2×핵불닭과 3×핵불닭은 한국에서는 판매되지 않고 해외로만 수출되는데 3× 핵불닭 수출 대상은 약 80개국이다. 

덴마크의 리콜 조치 이후 BBC, AP통신, AFP통신 등 외신이 이를 앞다퉈 보도하면서 불닭은 화제의 중심에 섰다. BBC, 가디언, 호주 ABC방송 등의 기자들이 불닭을 직접 시식하는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워싱턴포스트도 지난 19일 불닭 리콜 사태를 계기로 불닭 인기를 조명한 기사에서 “덴마크 판매 금지 조치로 불닭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덴마크 리콜 사태로 불닭이 세계 곳곳에서 헤드라인을 장식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면서 틱톡에 불닭과 관련 키워드가 태그된 게시물이 3억6000만 건에 이른다고 전했다.

한편 삼양식품은 국내 공인기관과 함께 캡사이신양을 측정한 뒤 지난 19일 덴마크 정부에 반박 의견서를 제출했다. 제품 전체 중량이 아닌 액상 수프 중량만으로 캡사이신양을 계산해야 한다고 삼양식품은 주장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보스턴 펜웨이파크에 LG전자가 설치한 ‘초대형 LED’ 정체는?

2곤봉으로 유리창 ‘쾅’...尹 파면에 경찰버스 부순 남성 ‘구속’

3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4기아, 다문화 청소년 위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본격 가동

5티웨이항공, 유럽 항공권 프로모션 실시

6 대구 북구 산불 진화 헬기 추락

7 尹 "자유와 주권 수호를 싸운 여정, 역사로 기록될 것"

8“트럼프, 손 떼라”...美 전역서 ‘反트럼프 시위’ 열려

9머스크 “美·EU, 무관세 필요해”...‘관세 폭탄’ 트럼프와 ‘엇박자’

실시간 뉴스

1보스턴 펜웨이파크에 LG전자가 설치한 ‘초대형 LED’ 정체는?

2곤봉으로 유리창 ‘쾅’...尹 파면에 경찰버스 부순 남성 ‘구속’

3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4기아, 다문화 청소년 위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본격 가동

5티웨이항공, 유럽 항공권 프로모션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