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코로나19, 온열질환 환자까지…응급실 혼란 가중 우려

응급의학과 전문의 6명 안 되는 응급실 상당수
의협 “추석에 응급실 셧다운될 수 있다” 경고

최근 코로나19 여름철 재유행에 온열질환까지 겹치면서 응급실이 '응급 상황'에 놓였다. 사진은 응급의료센터 앞에서 환자 보호자들이 대기하고 있는 모습.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송현주 기자] 최근 코로나19 여름철 재유행에 온열질환까지 겹치면서 응급실이 '응급 상황'에 놓였다. 이미 인력이 매우 부족한 응급실에 환자가 갑자기 몰리면 혼란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 408개 응급의료기관 가운데 지난 2월 의료대란 이후 병상을 축소해 운영하는 곳은 모두 25곳으로 집계됐다. 3월 한 달간 46만여명으로 급감했던 전국 응급실 내원환자 수도 다시 증가해 지난달엔 55만여명을 넘어섰다.

이달 셋째 주 기준 응급실 내원환자는 하루 평균 1만9784명으로, 평시 대비 111% 수준이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8월 응급실 환자는 다시 2월 규모(58만명)를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의료계는 이런 현상은 상급병원 진료 예약이 예전만큼 쉽지 않자 경증환자들이 응급실을 찾는 경우가 많아진 탓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코로나19 재감염이 확산하며 고령층 등 증상이 악화한 환자가 늘어난 영향도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최근 응급실 환자 중 경증·비응급에 해당하는 경우가 약 42%에 달한다. 특히 응급실을 찾은 코로나19 환자 중 95% 이상이 중등증 이하 환자였다.
 
이에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추석 연휴에 응급실이 연쇄적으로 운영을 중단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채동영 의협 홍보이사 겸 부대변인은 23일 서울 용산구 의협 회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아주대병원 응급실 내원 환자는 하루 60~70명이고, 이 중 절반은 입원할 정도로 중환자가 많아 이 병원의 한 응급의학과 교수는 ‘쉬운 환자가 한 명도 없다. 남은 의료진은 죽어간다’고 호소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대부분 응급실이 해당 병원에서 수술한 기존 환자 위주로 받고 있고 신규 환자나 전원 환자는 받지 못하고 있다”며 “9월이 되면 코로나19가 정점을 찍어 환자들이 더 몰릴 것이고 필수진료과 의사들이 대거 쉬는 추석 연휴도 있어서 응급실 연쇄 셧다운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아울러 의협은 정부와 국회에 의료대란 사태를 초래한 책임자들을 경질하고 국정조사를 실시해달라고 요청했다. 의협은 “이 사태를 초래한 책임자들과 대통령실 사회수석, 보건복지부와 교육부 장·차관에 대한 경질을 요구한다”며 “이것이 사태 해결의 시작”이라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SKT, AI 넘어 양자사업까지 확장한다"...美 IonQ와 협력 논의

2한화에어로, 3.6→2.3조 유증도 '제동'…금감원 "2차 정정요구"

3트럼프 지지율, 가파르게 추락…100일도 안돼 '역대 최저치'

4일본에서 난리났다...무신사, K-패션 성공 가능성 입증

5“식료품 맛집”...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 오픈

6이창용 한은 총재 “美 관세에 통화정책 ‘어두운 터널’”(종합)

7퍼스널 아이웨어 ‘브리즘’, 80억원 규모 시리즈B 투자 유치

8해태아이스, 신제품 4종 출시로 제로 라인업 확대

9한양증권 매각 안갯 속...KCGI, 대주주 적격성 심사 중단

실시간 뉴스

1"SKT, AI 넘어 양자사업까지 확장한다"...美 IonQ와 협력 논의

2한화에어로, 3.6→2.3조 유증도 '제동'…금감원 "2차 정정요구"

3트럼프 지지율, 가파르게 추락…100일도 안돼 '역대 최저치'

4일본에서 난리났다...무신사, K-패션 성공 가능성 입증

5“식료품 맛집”...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