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럼피스킨 뭐길래…충주 젖소농장 발칵
올해 전국 럼피스킨 확진 15번째
고열 나고 혹…폐사율은 10% 이하

이로써 올해 전국의 럼피스킨 확진 사례는 15건으로 늘었다. 충주에서는 지난달에도 럼피스킨이 발생했다.
농식품부는 럼피스킨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이 농장에 초동방역팀과 역학조사반을 파견해 출입을 통제하고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다. 이 농장에서 기르던 소 216마리 중 감염된 소는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살처분한다.
농식품부는 또 충주시와 인접 6개 시·군(충북 제천·괴산·음성, 경기 여주, 강원 원주, 경북 문경) 소재 축산관계 시설 종사자와 차량에 대해 오는 29일 오후 7시까지 일시 이동 중지 명령을 내렸다.
럼피스킨병은 모기 등 흡혈 곤충에 의해 소만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고열과 지름 2∼5㎝의 피부 결절(단단한 혹)이 나타난다.
또한 우유 생산량이 줄고, 소의 유산, 불임 등도 나타나 확산하면 농장의 경제적 피해가 크기 때문에 국내에서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돼 있다. 폐사율은 10% 이하인 것으로 알려졌다.
럼피스킨병은 지난 1929년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처음 발생했고 2013년부터는 동유럽, 러시아 등으로 확산했으며, 2019년부터는 아시아 국가로도 퍼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농식품부는 국내 유입 가능성에 대비, 지난 2019년 진단체계를 구축했고 2021년부터 전국적으로 예찰을 시행해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트럼프, 中 협상 '올스톱'에 "'이것' 해결 안되면…"
2바닥이 어디냐…코스피 '관세 공포'에 5.57% 폭락 마감
3코웨이, ‘2025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 27년 연속 1위 선정
4“화려한 건 질색” 잘파세대, 체크카드도 ‘미니멀 룩’
5한국 '여권파워' 어쩌다 이렇게…39위로 추락
6‘1박2일’ 전북 찾은 제주은행·부산은행 직원·가족들
7필립스옥션, 4월 런던 뉴나우 경매 개최… 한국작가 김창열·임상빈·최랄라 포함
8"가뜩이나 증시 안 좋은데"…JP모건의 더 암울한 전망
9"예뻐서 난리" 효민 웨딩드레스, 얼말까…'스드메' 업계 손질 나선 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