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인싸’ 이창용 총재, 국제기구 경험·노하우 청년들에 대공개
30일 서강대서 ‘나의 국제기구 경험’ 주제 강연
진로고민 청년들에 “싫어하는 것 잘라내라” 조언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국제통화기금(IMF) 근무 당시, 회의에 앉아만 있어도 전세계의 6개월 뒤 경제전망을 알 수 있었어요. 월급을 안 받고 돈을 주면서라도 여기 있고 있다는 생각을 했죠.”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서울 마포구 서강대학교 성이냐시오관 소강당에서 지난 국제기구에서의 경험을 떠올리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이 총재는 ‘글로벌시대 세상을 이끄는 사람들’이라는 특별강연에 강연자로 나섰다.
행사는 서강대학교 멘토링 센터 ‘생각의 창’의 주최로 열렸다. 생각의 창 센터장인 박영선 전 중기벤처기업부 장관은 이 총재를 ‘키다리 아저씨’라고 소개했다.
박 센터장은 “키다리 아저씨라고 하면 우리에게 선한 영향력을 줄 것 같고, 우리의 소원들 들어줄 것 같은 그런 생각이 들어 제가 (이 총재를) 키다리 아저씨라고 소개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에서 경제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로체스터대 조교수, 세계은행 객원 연구원을 거쳐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에서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획조정단장을 역임했다. 이후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이코노미스트를 거쳐 2014년 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을 지냈다. IMF 등 해외 경제 기관에서 일한 경험이 풍부한 만큼 글로벌 인맥도 탄탄해 ‘글로벌 인싸(인사이더)’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 총재는 이같은 국제기구 경험을 통해 경제이론뿐 아니라, 외교 협상 등 다양한 시각에서 문제 파악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우리나라의 위치를 객관적이고 현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면서 “소위 ‘국뽕’도 아니고, 무조건 나쁘게 말하는 것도 아닌, (글로벌 국가와) 비교하는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IMF 경험에서 얻은 교훈을 한국은행에 접목한 사례도 소개했다. 그는 “한국은행의 보고서 리뷰 프로세스 구축했다”며 “또한 커뮤니케이션 전략회의 신설, 공보관 역할 강화,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 등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최근 한국은행의 구조조정 페이퍼 등이 주목받는 것은 커뮤니케이션 체제를 바꾸면서 다른 부처보다 임팩트 있게 전달하도록 체제를 바꿨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는 서강대 학생 등 900여명이 몰리며 큰 관심을 끌었다. 특히 강연장은 대부분 2030세대의 청년세대로 꽉 채워졌다. 이 총재는 진로 고민이 깊은 이들에게 조언도 잊지 않았다.
이 총재는 “2030세대인 저의 아들‧딸들에게 평소에 하는 얘기를 빌려온다면, ‘너 좋아하는 것을 하라’고 말하고 싶다”면서 “무엇을 좋아하는지 모른다면 ‘싫어하는 걸 잘라내라’고 말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그는 “좋아하는 것도 하나만이 아니라, 연관되어 있는 직업을 두세개는 갖고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독점’을 인생에 빗대어 새롭게 해석하기도 했다. 이 총재는 “경제학의 독점은 나쁜 것이라고 가르쳐왔는데, 사회에 접목해 다른 각도에서 보면 최근에는 나를 대체할 사람이 너무 많아 젊은세대들이 어려운 것 같다”면서 “젊은세대들이 어떻게 살면 좋겠냐 묻는다면 ‘너에 대한 수요가 독점적이게 만들어라’라고 답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30일 서울 마포구 서강대학교 성이냐시오관 소강당에서 지난 국제기구에서의 경험을 떠올리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이 총재는 ‘글로벌시대 세상을 이끄는 사람들’이라는 특별강연에 강연자로 나섰다.
행사는 서강대학교 멘토링 센터 ‘생각의 창’의 주최로 열렸다. 생각의 창 센터장인 박영선 전 중기벤처기업부 장관은 이 총재를 ‘키다리 아저씨’라고 소개했다.
박 센터장은 “키다리 아저씨라고 하면 우리에게 선한 영향력을 줄 것 같고, 우리의 소원들 들어줄 것 같은 그런 생각이 들어 제가 (이 총재를) 키다리 아저씨라고 소개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에서 경제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로체스터대 조교수, 세계은행 객원 연구원을 거쳐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에서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획조정단장을 역임했다. 이후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석이코노미스트를 거쳐 2014년 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을 지냈다. IMF 등 해외 경제 기관에서 일한 경험이 풍부한 만큼 글로벌 인맥도 탄탄해 ‘글로벌 인싸(인사이더)’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 총재는 이같은 국제기구 경험을 통해 경제이론뿐 아니라, 외교 협상 등 다양한 시각에서 문제 파악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우리나라의 위치를 객관적이고 현실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면서 “소위 ‘국뽕’도 아니고, 무조건 나쁘게 말하는 것도 아닌, (글로벌 국가와) 비교하는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IMF 경험에서 얻은 교훈을 한국은행에 접목한 사례도 소개했다. 그는 “한국은행의 보고서 리뷰 프로세스 구축했다”며 “또한 커뮤니케이션 전략회의 신설, 공보관 역할 강화, 커뮤니케이션 트레이닝 등을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최근 한국은행의 구조조정 페이퍼 등이 주목받는 것은 커뮤니케이션 체제를 바꾸면서 다른 부처보다 임팩트 있게 전달하도록 체제를 바꿨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는 서강대 학생 등 900여명이 몰리며 큰 관심을 끌었다. 특히 강연장은 대부분 2030세대의 청년세대로 꽉 채워졌다. 이 총재는 진로 고민이 깊은 이들에게 조언도 잊지 않았다.
이 총재는 “2030세대인 저의 아들‧딸들에게 평소에 하는 얘기를 빌려온다면, ‘너 좋아하는 것을 하라’고 말하고 싶다”면서 “무엇을 좋아하는지 모른다면 ‘싫어하는 걸 잘라내라’고 말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그는 “좋아하는 것도 하나만이 아니라, 연관되어 있는 직업을 두세개는 갖고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독점’을 인생에 빗대어 새롭게 해석하기도 했다. 이 총재는 “경제학의 독점은 나쁜 것이라고 가르쳐왔는데, 사회에 접목해 다른 각도에서 보면 최근에는 나를 대체할 사람이 너무 많아 젊은세대들이 어려운 것 같다”면서 “젊은세대들이 어떻게 살면 좋겠냐 묻는다면 ‘너에 대한 수요가 독점적이게 만들어라’라고 답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대통령실 "추경, 논의도 검토도 결정한 바도 없었다"
2"다 막혔는데 이거라도.." 금리 12% 저축은행 신용대출에 고신용자 몰렸다
3"자동주차 하던 중 '쾅'" 샤오미 전기차, 기능 오류로 70대 파손
4기업은행·인천대학교·웹케시, 창업기업 성장 지원 업무협약
5Sh수협은행, 공공 마이데이터 활용 서비스 확대
6"'블루오션' 이라더니"...인도 아다니 그룹, 하루새 시총 37조 증발
7"5000억 규모 자사주 전량 소각한다"...LG, 주주환원 확대 추진
8中공안부, 잇단 묻지마 범죄에 ‘전쟁 선포’
9LG생활건강 “향후 3년간 3014억원 규모 자사주 전량 소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