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시상식서 한국말이?..."한강님 나와주세요"
다음달 10일 열리는 시상식 서는 한강 작가
수상 작가 모국어로 소개하는 관행, 이번에도 진행

1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강 작품을 스웨덴어로 옮긴 박옥경 번역가는 다음달 10일 열리는 노벨상 시상식에서 수상자를 소개하는 연설 마지막 한 문장을 한국어로 번역해 달라는 요청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매년 노벨상 설립자 알프레드 노벨의 기일에 열리는 시상식은 올해 1800석 규모 스톡홀름 콘서트홀에서 열린다. 선정위원 중 한 명이 5분 정도 작가와 작품을 소개하는 연설을 한다.
소개하는 방식은 해마다 다르지만, 스웨덴어로 한 뒤 시상을 위해 수상자를 호명할 때는 모국어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2022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프랑스 작가 아니 에르노를 호명할 때는 시상자가 프랑스어로 “친애하는 아니 에르노, 국왕 폐하에게 노벨 문학상을 받기 위해 앞으로 나와줄 것을 요청하며 스웨덴 한림원의 따뜻한 축하를 전한다”라고 했다.
수상자가 무대 위로 올라오면, 칼 구스타프 16세 스웨덴 국왕이 상을 수여하는 순으로 이뤄진다. 노벨상 수상자는 6개월 내에 수락 연설을 해야 한다.
연설은 강연, 노래, 동영상, 녹음 등 형식과 분량에 제한이 없다. 노벨상 수상자의 연설은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며 서적으로 출간되기도 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보스턴 펜웨이파크에 LG전자가 설치한 ‘초대형 LED’ 정체는?
2곤봉으로 유리창 ‘쾅’...尹 파면에 경찰버스 부순 남성 ‘구속’
3대구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조종사 1명 사망
4기아, 다문화 청소년 위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본격 가동
5티웨이항공, 유럽 항공권 프로모션 실시
6 대구 북구 산불 진화 헬기 추락
7 尹 "자유와 주권 수호를 싸운 여정, 역사로 기록될 것"
8“트럼프, 손 떼라”...美 전역서 ‘反트럼프 시위’ 열려
9머스크 “美·EU, 무관세 필요해”...‘관세 폭탄’ 트럼프와 ‘엇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