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 유가, 이스라엘-헤즈볼라 휴전에 하락 반전…WTI, 0.25%↓
이달 15일 이후 최저치 기록

26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17달러(0.25%) 낮아진 배럴당 68.7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WTI는 종가 기준으로 이달 15일 이후 최저치로 후퇴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1월 인도분 가격은 전장 대비 0.20달러(0.27%) 하락한 배럴당 72.81달러에 마감했다. 브렌트유는 WTI와 동반으로 2거래일 연속 내렸다.
WTI는 뉴욕 오전 장 초반 2% 가까이 급등하기도 했다.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 간 협의체인 'OPEC+'가 증산 계획을 다시 연기할 수 있다는 주요 외신들의 보도가 전해진 영향이다.
일요일인 내달 1일 회의를 여는 OPEC+는 내년 1월로 미뤘던 하루 18만배럴의 점진적인 증산(감산 축소)을 재차 미루는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애초 OPEC+는 하루 220만배럴의 감산을 지난 9월까지만 연장할 계획이었으나, 글로벌 공급 과잉 우려 속에 증산 실행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
한때 70달러를 소폭 웃돌기도 했던 WTI는 이스라엘의 휴전 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내림세로 돌아섰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안보내각 회의 후 가진 연설에서 휴전 방침을 밝히면서 "레바논에서의 휴전은 이란의 위협에 집중하고, 우리 군을 쉬게 하고, 하마스를 고립시키는 것이 목표"라며 "헤즈볼라가 합의를 깬다면 우리는 이들을 공격할 것"이라고 말했다. 휴전 기간에 대해서는 "상황이 어떻게 펼쳐지는지에 달려 있다"고 언급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WTI 종가가 체결된 뒤 영상 연설에서 이스라엘과 헤즈볼라가 휴전에 합의했다면서 휴전은 현지시간으로 다음날 오전 4시부터 시작된다고 밝혔다. 휴전 합의는 60일 동안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롯데관광개발, 소방공무원 위한 크루즈 여행 지원한다
2"별장 쉽게 가려고"…포르셰 회장, 산 뚫어 '개인용 터널' 만들려다 '들통'
3세모통, 헬로모바일과 손잡고 알뜰폰 시장 공략 강화
4"SKT, AI 넘어 양자사업까지 확장한다"...美 IonQ와 협력 논의
5한화에어로, 3.6→2.3조 유증도 '제동'…금감원 "2차 정정요구"
6트럼프 지지율, 가파르게 추락…100일도 안돼 '역대 최저치'
7일본에서 난리났다...무신사, K-패션 성공 가능성 입증
8“식료품 맛집”...이마트, 푸드마켓 고덕점 오픈
9이창용 한은 총재 “美 관세에 통화정책 ‘어두운 터널’”(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