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어깨 무거운 신학기 수협은행장…지주사 전환 속도 낼까

건전성‧자본 적정성 개선도 당면 과제
“사업 다각화 등 임기 내 성공 완수 할 것”

신학기 신임 수협은행장이 18일 서울 송파구 수협은행 본사에서 진행된 취임식에서 수협은행기를 전달받고 힘차게 흔들고 있다. [사진 수협은행]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Sh수협은행의 새 수장에 오른 신학기 은행장의 어깨가 무겁다. 신 행장의 최우선 과제는 비은행 계열사 인수합병(M&A)이다. 이는 수협은행의 숙원 사업인 지주사 전환을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다. 신 행장 체제에서 수협은행 지주사 전환 작업에 속도가 붙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신학기, 수협은행 새 얼굴…“단기 성과보다 장기 성장”
금융권에 따르면 신 행장은 지난달 18일 취임했다. 신 행장은 전임자인 강신숙 행장의 연임 가능성도 높게 점쳐지는 가운데, 이를 뒤엎고 신임 행장 자리를 차지한 주인공이 됐다. 

신 행장은 1968년 경남 창녕 출생으로 동아대 무역학과를 졸업했다. 1995년 수협중앙회에 입회해 인계동지점장, 리스크관리부장, 심사부장, 전략기획부장, 남부광역본부장 등을 거쳤다. 2020년 12월부터 수협은행의 전략과 재무를 총괄하는 경영전략그룹 수석부행장을 맡은 경력도 있다. 

지난 취임식 당시 신 행장은 수협은행의 핵심과제로 ▲기본에 충실 ▲차별화 추구 ▲미래 성장 역량 확대 ▲소통과 협력 ▲협동조합은행 정체성 강화 등을 제시했다.

또한 그는 임직원들에게 “주거래 고객 증대 등 기본에 충실한 마케팅을 통해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금융’을 실천해 달라”며 “단기 성과보다 수협은행의 장기적 성장을 위해 경영의 역량을 배분하겠다”고 강조했다.

1년 이상 미뤄진 M&A…지체할 시간 없다
2년이라는 행장 임기를 개시한 지 초반이지만, 신 행장에겐 시간이 많지 않다. 현재 수협이 추진 중인 1차 M&A 작업은 금융지주사 설립 계획의 초기 단계다. 당초 수협이 예상했던 1차 M&A 완료 시점은 지난해 상반기였다. 또한 지난해 말까진 자회사 M&A를 마무리하고, 올해부터 지주사 전환에 나설 계획이었다. 

이를 위해 강신숙 전 행장은 취임 직후 금융지주 전환 전략 등을 담당하는 미래혁신추진실을 신설했고, 지난해 은행장 직속 M&A 전담팀까지 꾸렸다. 하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떠나게 됐다. 

수협은행은 1~2차 M&A를 거쳐 최소 두 곳 이상의 비은행 계열사를 확보해야 한다. 1차 대상은 자산운용사와 캐피탈사다. 이후 2차 M&A 목표인 증권사 인수까지 이뤄지면 비로소 Sh금융지주 설립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웰컴캐피탈과 웰컴자산운용, 유진자산운용 등이 유력하게 인수 후보군으로 시장에서 거론됐지만 딜은 완성되지 못했다. 강 행장이 임기 내 뚜렷한 결과물을 내지 못하고 퇴임했고, 이는 차기 은행장인 신 행장의 숙제가 됐다. 

M&A 작업이 1년 이상 지체된 만큼, 신 행장이 나서 속도를 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그간 은행의 M&A 전략과 딜을 주도해 온 신 행장의 추후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신 행장은 수협은행의 경영전략그룹장이자 최고재무책임자(CFO)로서 은행의 비은행 계열사 M&A를 실질적으로 이끌었다. 수협은행장 1차 공모에 지원한 6명의 후보자 중 M&A 실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인물은 신 행장이 유일했다. 신 행장 또한 취임사에서 사업다각화를 임기 내 과제로 꼽으며, M&A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신 행장이 그동안 경영전략그룹에서 비은행 자회사 M&A에 깊숙이 관여해온 만큼 신 행장 체제에서 수협은행의 M&A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커진다. 

수협은행 본점 전경. [사진 수협은행]

건전성‧자본적정성 등 개선 노력해야
신 행장은 실적 개선 측면에서도 성과를 내보여야 한다. 수협은행의 올해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2733억원으로 전년 동기 2803억원 대비 2.5%(70억원) 감소했다. 

무엇보다 건전성과 자본적정성도 빨간불이다. 수협은행의 올해 상반기말 기준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80%로 1년 만에 0.21%포인트(p) 올랐다. NPL 비율이 높을수록 자산의 건전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수협은행의 3분기 말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12.51%로 은행권 평균치 13.18%를 밑도는 수준이다. CET1 비율은 위기 상황에서 금융사가 지닌 손실흡수능력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다.

이는 신 행장이 지난 취임식에서 ‘자본 적정성 확보’에 대해 언급한 이유기도 하다. 신 행장은 취임사에서 “디지털 경쟁력 강화, 금융업 사업 다각화, 자본 적정성 확보 등 일류은행으로 진일보하기 위한 중차대한 과제들이 있다”며 “저는 임기 동안 이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완수해 미래 지속 성장하는 수협은행을 만들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톱스타 대거 출연한 '오징어게임2'...배우 리스크도 그만큼 컸다

2정치는 정치대로, 경제는 경제대로

3고려대, 등록금 ‘5.49% 인상’ 검토

4바이든, 13일 ‘외교 성과’ 연설...한미일 협력 언급 전망

5‘역대급 추위’에...서울서 ‘수도 계량기’ 동파 속출

6유엔이 전망한 ‘한국 경제’ 성장률...“올해 2.2%”

7‘악마, 베르사체도 입을까’...“프라다, 인수 검토 중”

8대체거래소 출범해도 IPO 기업은 상장일 다음날 거래…왜일까

9현대차와 ‘드리프트 킹’의 만남...‘아이오닉 5 N DK 에디션’ 첫 선

실시간 뉴스

1톱스타 대거 출연한 '오징어게임2'...배우 리스크도 그만큼 컸다

2정치는 정치대로, 경제는 경제대로

3고려대, 등록금 ‘5.49% 인상’ 검토

4바이든, 13일 ‘외교 성과’ 연설...한미일 협력 언급 전망

5‘역대급 추위’에...서울서 ‘수도 계량기’ 동파 속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