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 韓 ‘HBM 인재’ 잡기 나서…“임금인상·거주비 지원”
한국 엔지니어에 전방위 이직 제안
호텔서 릴레이 면접, 당일 합격 통보도

22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최근 몇 주간 경기도 판교 일대 호텔 등에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포함한 국내 반도체 엔지니어들의 경력 면접을 잇달아 진행하고 있다.
한국을 찾은 마이크론 대만 매니저와 지원자가 1:1 방식으로 영어, 피티(PT) 면접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면접은 대만 타이중 지역의 팹(공장)에서 일할 인력 채용을 위한 것으로, 대만 공장은 최대 D램 생산기지다. 마이크론의 HBM도 이곳에서 만들어진다.
앞서 이달 초중순에도 마이크론은 국내 주요 대학에서 ‘당일 채용(사전 지원자 대상)’이라는 파격 조건까지 걸고 채용 설명회를 진행하는 등 인재 뽑기를 시작했다.
아울러 이번에 뽑는 경력직 직무와 근무지로 볼 때, 전사 역량을 HBM에 집중시키겠다는 의지가 큰 것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비즈니스 네트워킹 플랫폼 ‘링크드인’을 통해 대만 헤드헌터가 한국 엔지니어들에게 제안(오퍼)한 포지션의 ‘직무기술서(JD)’에도 HBM과 패키징 내용이 다수였다.
오퍼 조건으로는 연차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원천징수 기준 10∼20% 임금 인상, 거주비 및 비자 프로세스 지원 등을 내걸었다.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엔지니어뿐 아니라 한국에 지사를 둔 외국계 반도체 장비업체, 디스플레이 업계 직원들에게도 이직 제안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연차도 주니어부터 팀장급까지 다양한 것으로 알려졌다.
빠르면 당일 또는 1∼2일 만에 합격 통보를 받거나 대만이 아닌 미국, 싱가포르 팹 근무를 제안받은 지원자도 있었다.
이 같은 마이크론의 행보는 D램에서 우위에 있는 한국 업체들의 엔지니어를 통해 HBM 경쟁력을 확보하고 실적 반등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마이크론은 엔비디아에 HBM3E(5세대) 8단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12단 제품은 샘플링 중이며 HBM4(6세대) 제품 양산도 2년 내 이루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앞서 지난 19일 발표된 마이크론의 2025 회계연도 2분기(12∼2월) 매출(79억달러)은 월가 전망치(89억9000만달러)를 10% 이상 밑돌고, 주당 순이익(1.53달러)은 전망치(1.92달러)보다 약 25%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지스자산운용, 영남지역 산불 피해 복구에 1억원 성금 전달
2'상호관세' 협상카드, 대만 "10년간 美서 290조원 구매할 것"
3이케아, 이마트·니토리와 맞붙는다...“경쟁사 있으면 오히려 좋아”
4‘어서와, 서울은 처음이지’...이케아, 10년 만에 도심 속으로
5미래에셋, TIGER ETF 2종 명칭 변경
6신한투자증권, 美 AI 애드테크 밸류체인 기업 몰로코 투자금 회수 완료
7iM뱅크·무보, 800억원 규모 ‘수출 패키지 우대금융지원 협약’
8하나생명·하나금융티아이 신입사원, 영종도 해안 플로깅 활동
9하나은행, ‘2025 어린이 바둑 페스티벌’ 개최…참가자 선착순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