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산업생산 석 달째 감소…소비는 증가세로 전환
산업생산 0.4% 감소…투자 1.6%↓·소비 0.4%↑

재화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는 석 달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현재 상황을 보여주는 경기 지수는 9개월째 반등하지 못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11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전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2.6으로 전달보다 0.4% 감소했다.
지난 9월 이후 석 달째 감소세다. 자동차 파업 등으로 제조업 생산이 감소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
서비스업 생산은 금융·보험 등에서 줄면서 전달보다 0.2% 줄었다.
재화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는 준내구재 소비가 늘면서 전달보다 0.4% 증가했다. 지난 9∼10월 두 달째 줄어들다가 석 달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투자가 줄면서 전달보다 1.6% 줄었다. 지난 10월에 이어 두 달째 감소세다.
건설기성(불변)은 건축에서 공사실적이 줄면서 0.2% 줄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건설기성액 하락 등 영향으로 전달보다 0.5포인트(p) 하락했다. 올해 3월 이후 매달 하락 혹은 보합을 기록하며 9개월째 반등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건설수주액이 늘면서 전달보다 0.1p 상승했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동행지수는 마이너스 흐름으로 좋지는 않지만 선행지수는 약간 상승했다"라며 "앞으로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애플, 새 보급형 모델 ‘아이폰 16e’ 출시...가격 99만원부터
2올해 가상자산 포인트는 ‘기관 투자자’...코빗 리서치센터
3‘200번째 LNG선’ 인도한 한화오션...세계 최초 기록 달성
4기아, 첫 목적기반모빌리티 ‘PV5’ 외장 디자인 공개
5美 트럼프 수입차 25% 관세 발표에 자동차株 일제히 하락
6보람상조, ‘K-Brand Awards’ 수상...“고객 중심 혁신으로 업계 선도”
7캄파리코리아, 디라돈 고치 ‘마스터 클래스’ 개최
8“우리 아이 안심 첫 밥”...푸디버디, ‘부드러운 유기농 잡곡밥’ 출시
9코스피, 차익 매물에 하락세 '숨고르기'…8거래일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