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이거라도 써야 살죠”...불황형 대출 카드론, 1년 새 3.6조 늘어

9월 '일일 잔액 보고' 이후 소폭 줄어

서울 시내에 부착된 카드 대출 관련 광고물.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박지수 기자] 고물가·저성장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불황형 대출'로 불리는 카드론 잔액이 1년새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주요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지난 12월 말 카드론 잔액은 42조3873억원으로, 전년 대비 3조6260억원 늘었다. 이는 2023년의 증가 폭인 2조4423억원과 2022년의 8303억원에 비해 크게 확대된 수치다.

카드론은 일반 은행 신용대출과 달리 담보나 보증, 심사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지만 10%가 넘는 고이율로 인해 급전 창구인 '불황형 대출'로 불린다. 이자부담이 높은데도 당장 써야 할 돈이 있기 때문에 카드론 잔액으로 서민들의 체감경기를 파악하는데도 주요하게 사용된다.

카드론 잔액은 지난 2023년 12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8개월 연속 증가했다. 지난 7월과 8월에는 각각 6207억원, 6043억 원 늘면서 역대급 증가 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처럼 카드론 잔액이 급증하자 지난해 9월 금융당국은 카드사들의 공격적 영업 행태를 두고 '일일 잔액 보고' 등을 요구하면서 제제를 걸었다. 이에 9월부터는 전달 대비 1441억원 감소세를 보였고, 연말까지 부실채권 상각 효과로 인해 효과를 확인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올해도 카드론 수요가 유지되거나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서민경제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한 것인데, 금융당국의 리스크 관리와 서민층 지원 대책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현대차증권, 국내 최초 모빌리티 분야 ‘KOC’ 획득

2삼성물산 패션부문, ‘투게더 위크’ 프로모션 실시

3KFC코리아, 타코벨 운영권 확보...우선적 권한 획득

4 윤 전 대통령 "기대에 부응 못해 안타깝고 죄송"

5팀홀튼, 첫 한국 앰버서더로 NCT 마크 발탁…캐나다 감성 전파 나선다

6경제계, 尹 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대립과 갈등 넘어 경제회복에 힘 모아야”

7‘미르4’부터 ‘레전드 오브 이미르’까지 블록체인 게임에 진심인 위메이드

8농협은행서 205억원 금융사고…외부인 대출상담사가 실행

9BYD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실시간 뉴스

1현대차증권, 국내 최초 모빌리티 분야 ‘KOC’ 획득

2삼성물산 패션부문, ‘투게더 위크’ 프로모션 실시

3KFC코리아, 타코벨 운영권 확보...우선적 권한 획득

4 윤 전 대통령 "기대에 부응 못해 안타깝고 죄송"

5팀홀튼, 첫 한국 앰버서더로 NCT 마크 발탁…캐나다 감성 전파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