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푸드빌, 지난해 영업익 556억...전년대비 22.7%↑

CJ푸드빌은 지난해(2024년) 연결 기준 매출액 9092억원, 영업이익 556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7.6%, 22.7% 증가했다고 28일 밝혔다. 흑자 전환에 성공한 지난 2021년 이래로 4개년도 연속 성장세다. 해당 기간 매출은 50% 늘고 영업이익은 10배 이상 증가했다.
CJ푸드빌 사업 호조의 주요 배경에는 글로벌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세가 가장 큰 요인으로 평가받는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뚜레쥬르는 현재 9개국에 진출해 56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인도네시아∙베트남에는 현지 법인을 두고 있다.
해외 법인이 기록한 매출은 2116억원으로 전년 대비 420억원 증가했으며, 해외 법인의 당기순이익으로 단순 합산한 금액은 2.3배 증가했다.
특히 미국에서는 지난 2018년 CJ푸드빌 해외 법인 중 최초로 흑자 전환에 성공한 이후 7년 연속 신기록을 경신하고 있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30% 증가한 1373억원으로 꺾이지 않는 성장세를 입증했다.
뚜레쥬르는 현재 LA·뉴욕·뉴저지·매사추세츠주 등 미국의 절반이 넘는 27개주(州)에서 핵심 상권을 중심으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지난해 연말 150호점을 돌파하며 가맹점 출점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2030년 미국 내 1000개 매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연내 완공을 목표로 미국 조지아주에 연간 1억개 이상의 생산능력을 갖춘 공장도 건설 중에 있다.
아시아에서도 인도네시아와 싱가폴, 말레이시아 등 진출 지역을 넓혀가며 매장 수를 확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법인의 지난해 매출은 490억원으로 전년 대비 22.5% 증가했다. 지난 2022년 흑자 전환한 이후 3년 연속 성장세다.
CJ푸드빌은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70여개가 넘는 뚜레쥬르 매장을 운영 중이다. 뚜레쥬르는 인도네시아에서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로 자리잡는데 현지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제품과 서비스가 주효했다는 평가다.
또한 인도네시아 브카시 지역에 2019년 생산 공장을 설립해 국내 베이커리 업계 최초로 할랄 인증을 획득했다. 뚜레쥬르는 해당 인도네시아 공장 기반 공급망을 통해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사업을 운영하며 인근 국가인 말레이시아, 싱가폴 등으로 매장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CJ푸드빌의 외식 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7.8% 증가했다. 빕스를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전략과 차별화된 매장 콘셉트, 고품질의 메뉴와 서비스를 통한 질적 성장이 요인으로 꼽힌다.
빕스의 프리미엄 전략은 실적 가속화에 주효하게 작용했다.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뿐 아니라 매 계절마다 새로운 콘셉트를 지닌 신메뉴 출시, 무제한으로 즐길 수 있는 ‘와인&페어링존’ 등 고품격 다이닝을 제공한다.
또한 지난해에는 수도권 및 지역 거점 도시를 중심으로 이어진 신규 매장들의 성과가 특히 두드러졌다. 2023년 평균 점당 매출 대비 2024년 신규 점포의 평균 점당 매출이 약 35% 높게 나타났다. ‘빕스 마곡 원그로브점’의 경우에는 올해 1월과 2월의 일 평균 매출이 빕스 평균치 대비 60% 이상 높게 나타났다.
CJ푸드빌 관계자는 “K베이커리의 글로벌 시장 개척을 통한 해외 사업에서 속도를 내며 성장세를 확대할 수 있었다”며 “견고하게 자리잡은 현재의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F&B 기업으로서 한층 더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LS증권, 투자정보 콘텐츠 플랫폼 ‘투혼투게더’ 출시
2 정청래 "4일 오전 11시 尹 탄핵심판 헌재 선고"
3원/달러 환율, 美 상호관세 앞두고 상승세…1,470원대 중반
4“이혼도 보험이 된다고?”...캐롯손보, tvN 드라마 ‘이혼보험’ 제작 지원
5‘과열조짐’ SK하이닉스·카카오 등 43개 종목, 1일 하루 공매도 금지
6 금감원 "홈플 기업회생 신청경위·시점, MBK 해명과 다른 정황"
7CJ '24년 김치 노하우' 담겼다...30배 매운 'CJ실비김치' 출시
8"요기요가 매장 위생 관리 도와드려요"... '청결 상생 이벤트' 진행
9코스피, 장 초반 1%대 상승세…2,510대 안착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