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망한거 아닙니다"...홈플러스, 고객·매출 더 늘었다

고물가 장기화로 가성비 대형마트 수요 늘어
최근 6개월 간 홈플러스 오프라인 고객 5%↑

홈플러스 메가 푸드 마켓 라이브 센텀시티점 리뉴얼 오픈 현장. [사진 홈플러스]
[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홈플러스의 오프라인 고객 수와 매출 등이 증가세를 보였다. 고물가가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고 접근성과 가성비가 높은 대형마트를 찾은 덕분이다.

홈플러스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최근 6개월 간 전국 홈플러스 오프라인 대형마트 고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약 5% 증가했다.

특히 젊은 고객들이 물가 상승에 반응하면서 매출에 변화가 있었다. 전국 홈플러스 매장을 방문한 20대 고객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30대 고객 매출도 약 6% 늘었다. 회사 측은 매출과 객수 증가의 이유로 높은 접근성과 가성비를 꼽았다.

대형마트는 전국의 대규모 유통망을 기반으로 고품질의 상품을 최적의 가격의 공급하는 물가 방어 ‘최후의 보루’다. 1년 내내 쉼 없이 행사를 진행하고, 매주 할인 품목과 프로모션을 변경해 고객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여기에 홈플러스는 초대형 식품 전문 매장 ‘홈플러스 메가 푸드 마켓’을 전국으로 확대해 고객들의 오프라인 쇼핑 경험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전국 홈플러스 점포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홈플러스 메가 푸드 마켓’은 깔끔하게 새단장한 베이커리·푸드코트·식음료(F&B) 테넌트 등이 높은 외식 물가를 대체할 대안이 되고 있다.

홈플러스 ‘몽블랑제’ 베이커리는 국내 대형마트 중 유일하게 베이커리 직영 공장을 운영하고 있어 합리적 가격은 물론 전문점 수준의 우수한 제품력을 자랑한다. 생크림 모카번·정통 단팥빵 등 스테디셀러 제품은 물론 생크림 폭탄빵·알프스 소금빵·더 좋은 버터롤 등 다양한 제품 라인업으로 젊은 고객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최근 6개월 간 ‘홈플러스 메가 푸드 마켓’ 몽블랑제 베이커리 매출은 20% 이상 신장했다.

홈플러스는 마트 방문 고객들이 보다 저렴하고 쾌적한 외식을 즐길 수 있도록 푸드코트 및 F&B 앵커 테넌트도 강화했다. 한식·중식·일식·양식 등 다양한 메뉴들이 두루 포진한 푸드코트를 비롯해 ‘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쿠우쿠우’·‘피자몰’·‘두끼’ 등 젊은 고객부터 가족단위 고객까지 모두 아우르는 다양한 F&B 앵커 테넌트를 선보이고 있다. 이에 힘입어 최근 6개월 간 푸드코트를 포함한 ‘홈플러스 메가 푸드 마켓’ 식음료 테넌트 매출은 10% 증가했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계속되는 고물가 속 높은 가성비와 뛰어난 접근성의 마트 먹거리가 인기를 얻고 있다”며 “전국 오프라인 대형마트를 기반으로 고객들의 생활, 외식 물가 안정에 보탬이 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펼쳐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스라엘산 프리미엄 대추야자 브랜드 ‘킹 솔로몬’…가정의 달 맞이 기획 상품 선보여

2뉴욕증시, 급락…트럼프發 대중 반도체 규제 직격탄 영향

3한덕수 29.5%,김문수 21.5%,한동훈 14.1%...보수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

4뉴욕유가 2% 상승…中·美 대신 캐나다산 원유 수입 확대

5 트럼프, 일본 협상단 만나..."협상에 큰 진전"

6트럼프 "중국, 우리 돈 필요해"…中 "반격 조치 정당"

7SK하이닉스, 올해 두 번째 생산직 인력 채용 실시

8무역분쟁 고조에 매출 꺾인 LVMH…더 비싼 에르메스 시총 1위

9우아함은 ‘오프로드’로, 속도는 ‘서킷’으로…제네시스가 美서 내놓은 해답

실시간 뉴스

1이스라엘산 프리미엄 대추야자 브랜드 ‘킹 솔로몬’…가정의 달 맞이 기획 상품 선보여

2뉴욕증시, 급락…트럼프發 대중 반도체 규제 직격탄 영향

3한덕수 29.5%,김문수 21.5%,한동훈 14.1%...보수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

4뉴욕유가 2% 상승…中·美 대신 캐나다산 원유 수입 확대

5 트럼프, 일본 협상단 만나..."협상에 큰 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