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3월 취업자 19만 명 증가…청년층 고용은 '일자리 한파'

건설·제조업 취업자 감소 지속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들이 취업 공고를 둘러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우승민 기자] 3월 취업자 수가 20만 명 가까이 늘며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2025년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58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9만3000명(0.7%) 증가했다.

월간 취업자 수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마이너스(-5만2000명)를 기록했다가 올해 들어서는 1월(13만5000명)과 2월(13만6000명)에 이어 3개월 연속 증가세와 동시에 10만명대를 유지했다. 3월 증가폭(19만3000명)은 지난해 4월(26만1000명)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컸다.

고용률은 62.5%로 전년 동월 대비 0.1%포인트(p) 상승했다. 3월 기준으로는 역대 최고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9.3%로 전년 동월 대비 0.2%p 올랐다.

하지만 산업별, 연령대별로는 고용시장의 명암이 뚜렷했다.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21만2000명, 7.3%), 공공행정·국방및사회보장행정(8만7000명, 6.6%), 금융및보험업(6만5000명, 8.9%) 등에서는 취업자 수가 크게 늘었다.

반면 건설업(-18만5000명, -8.7%), 제조업(-11만2000명, -2.5%), 농림어업(-7만9000명, -5.7%), 도소매업(-2만6000명, -0.8%) 등에서는 취업자가 급감했다. 건설업은 11개월, 제조업은 9개월, 도소매업은 13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36만5000명)과 30대(10만9000명)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했다.

반면 20대(-20만2000명), 40대(-4만9000명), 50대(-2만6000명)에서는 취업자가 감소했다.

15~29세 고용률은 44.5%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4%p 떨어졌다. 3월 기준으로는 2021년(43.3%) 이후 최저치다.

3월 실업자 수는 91만8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만6000명(3.0%) 증가했다.

실업률은 3.1%로 지난해보다 0.1%p 높아졌다.

또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7.5%로 전년 동월 대비 1.0%p 상승했다. 3월 기준으로는 2021년(10.0%) 이후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특별한 이유 없이 일을 하지 않은 '쉬었음'은 251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만1000명(2.9%) 증가했다.

이 중 20대 '쉬었음' 인구는 41만7000명으로 지난해보다 5만8000명(16.3%)나 급증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국힘 윤상현, 대권 도전 결심…이번주 출마 선언 전망

2“남자친구 있어요?” 더본코리아 ‘술자리 면접’ 논란에…고용부 나서

3KB국민은행, KAI와 1조원 규모 상생협력 MOU 체결

4의대 쓸어담고 美 명문대도 휩쓴 고등학교, 어디?

5트럼프, 반도체 관세 ‘밀당’…“14일에 말하겠다”

6 유승민, 대선경선 불참키로…“국민의힘, 변화의 길 거부”

7“버티다 결국 접었다”…자영업자 1.4만명 사라져

8 김경수, 대선 출마 공식 선언 “행정수도 세종 완성할 것”

9제주에 ‘폭싹’ 빠진 대만…관광객 1년 새 2.3배 급증

실시간 뉴스

1 국힘 윤상현, 대권 도전 결심…이번주 출마 선언 전망

2“남자친구 있어요?” 더본코리아 ‘술자리 면접’ 논란에…고용부 나서

3KB국민은행, KAI와 1조원 규모 상생협력 MOU 체결

4의대 쓸어담고 美 명문대도 휩쓴 고등학교, 어디?

5트럼프, 반도체 관세 ‘밀당’…“14일에 말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