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中, 트럼프 관세폭탄에 긴급 대응…부양책 논의 착수

고율 관세 충격에 주택·소비·기술 중심 지원책 검토…위안화 절하 가능성도 부상

미국과 중국의 힘겨루기를 체스 게임과 국기에 빗댄 합성 이미지. [로이터=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중국 최고 지도부가 10일 긴급 회의를 열고 대규모 경제 부양책을 논의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최대 125%의 고율 관세를 예고한 데 따른 대응 조치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회의는 부동산 경기 부양, 소비 진작, 기술 혁신 지원 등 실물경제 중심의 지원 방안에 초점이 맞춰졌다. 금융 당국도 별도로 수출업체와 금융시장을 위한 정책 대응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지난 9일부터 미국산 제품 전체에 대해 8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는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104%의 관세를 부과한 데 대한 대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같은 날 추가로 중국산 제품에 125%의 관세를 예고하면서, 다른 주요 무역국에 대한 추가 관세는 유예하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은 불확실성 속에 출렁였다. 트럼프의 관세 유예 조치가 전해지자 주요 증시는 반등에 성공했고, 중국과 홍콩 증시도 이 흐름에 동참했다. 위안화는 한때 2007년 이후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지만, 정책회의 소식에 낙폭을 줄였다.

스탠다드차타드는 중국이 수출업체 부담을 줄이기 위해 위안화를 연말까지 5~10%가량 절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환율이 10% 절하될 경우, 달러당 위안화는 약 8.2위안 수준까지 약세가 진행될 수 있다.

미국과의 갈등이 장기화되면서 중국 경제 전망도 어두워지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의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4.5%에서 4.0%로, 내년 전망은 4.0%에서 3.5%로 하향 조정했다. 씨티그룹 역시 이번 주 4.7%에서 4.2%로 낮췄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는 미국의 고율 관세가 중국 GDP의 최대 3%까지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정부는 주말 동안 일부 부양책을 앞당겨 시행할지 여부를 이미 논의한 상태다. 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이번 주 사설에서 "차입 비용 인하, 지급준비율 인하 등 정책 여력은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흑백요리사' 셰프마저…파인다이닝 "월급 300만원도 힘들어"

2"정보 미리 알았나?"…트럼프 측근 의원의 수상한 투자 타이밍

3동아에스티 자회사 메타비아, 비만 치료제 1상 일부 결과 수령

45400만원 '버킨백' 中 공장선 얼마?…'원가 폭로'에 美 발칵

5대신증권, 시니어 고객 대상 ‘대체거래소 교육’ 실시

6신한투자증권, 시니어 PB `마이스터클럽` 신설

7‘캠프요리축제 심사위원’ 셰프 서진영 “만능 엔터테이너 될래요”

8이은미 토스뱅크 대표 “최초 넘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은행 되겠다”

9"새 노선도 어때요?" 서울지하철 호선별 노선도, 40년 만에 변경

실시간 뉴스

1'흑백요리사' 셰프마저…파인다이닝 "월급 300만원도 힘들어"

2"정보 미리 알았나?"…트럼프 측근 의원의 수상한 투자 타이밍

3동아에스티 자회사 메타비아, 비만 치료제 1상 일부 결과 수령

45400만원 '버킨백' 中 공장선 얼마?…'원가 폭로'에 美 발칵

5대신증권, 시니어 고객 대상 ‘대체거래소 교육’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