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품 중심에서 ‘업그레이드’추진…“LG, 중국 고가시장 노린다”
저가품 중심에서 ‘업그레이드’추진…“LG, 중국 고가시장 노린다”
‘중국의 LG’로 승부한다 지금까지 LG는 중국에 15억 달러를 투자했다. 중국은 이미 LG의 전 세계 시장 중 2위다. 손 사장은 “LG가 개척한 세계시장 중 중국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가장 크다. 그 중요성은 무엇으로도 바꿀 수 없다”고 말했다. 전자 쪽 투자가 비교적 빨리 이뤄졌다. 디지털 가전 공장이 들어선 데 이어 PDP와 LCD 공장이 준공됐다. IT 제품 공장도 지난해 완공됐다. 비단 LG전자만이 아니라 LG그룹의 다른 회사들도 지난 10년 동안 중국에 투자를 늘려왔다. 현재의 휴대전화 외에도 가전과 화학 건축재료 등 부문에 투자가 동시에 이뤄졌다. 지난해 7월 LG는 중국본사 빌딩 상량식을 했다. 모두 4억 달러가 투자될 빌딩이다. 이 빌딩은 베이징의 가장 번화가인 장안제(長安街) 젠궈먼(建國門) 다리 주위에 있다. 건물이 완공되면 LG전자를 비롯해 화학과 산전·상사가 모두 입주할 것이다. 역대 중국총괄사장들은 항상 중국언론에 이렇게 말했다. “중국에서 LG는 한국의 LG가 아니고 중국의 LG다. LG는 성공한 중국기업이 되고 싶지 중국에서 성공한 외국기업이 되고 싶지 않다.” 사실 LG제품이 중국 소비자들을 사로잡은 것은 바로 그 ‘친근감’ 이었다. 자주 중국기업과 가격 인하 경쟁을 했다. 2002년 LG는 에어컨 가격을 내려 판매량이 급격히 올랐다. 결국 하이얼(海爾)과 메이디(美的) , 거리(格力) 등 전자업체들이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가격인하에 동참했다. 지난해 4월 23일 LG전자 본사의 김쌍수 부회장이 중국을 찾았을 때 한 간부가 농담으로 이런 말을 했다. “앞으로 LG전자 중국법인은 중국 LG전자로 이름을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LG의 현지화 전략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케 한다. 전임 노용악 사장 재임 기간에는 한국에서 가장 유능한 인재를 중국으로 보내도록 했다. 또 본사의 선진기술을 가장 빠른 시일 내에 중국공장에서 활용토록 했다. 특히 중국에서 PDP 컬러 TV 연구개발에 많은 자금을 쏟아부었다. 그 결과 현재 중국에서 팔리는 다국적 기업의 PDP 컬러 TV 중 LG 제품이 판매량 1위다. 손 사장은 “ LG는 생산과 영업, 연구개발, 인재를 모두 중국에서 해결하는 완벽한 현지화 기업”이라고 강조했다. 손 사장은 톈진(天津) 공장장이던 시절 공장 직원 2000명을 한국 본사로 보내 연수를 받도록 했다. 중국 총괄사장이 된 이후에도 그는 모든 직원들을 현지 혁신학교에 연수를 보내 회사가 필요로 하는 인재로 만들었다. 현재 LG 중국회사에는 3만여 명의 직원들이 있다. 이 중 98%가 중국인이다. 공장 원자재는 중간재의 95%를 중국에서 조달한다. 또 19개 공장은 현지의 일류 중국기업과 합작투자를 해 설립했다. “중국 소비자 입맛에 맞춘다” 모든 현지 법인은 자체 연구개발센터에서 현지 소비자들 취향에 맞는 제품을 개발해 생산한다. LG는 이미 2002년 베이징에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했다. 현재 이곳에는 2000명의 연구인력이 있다. 지금까지 모두 4100만 달러가 투입됐다. 이는 한국의 본사를 빼고 전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LG의 연구개발센터다. 2003년 천진 연구개발센터가 신청한 특허 수가 중국 내 2위였을 정도다. 중국 최고의 하이테크 기업이라는 화웨이(華爲) 다음이었다. LG 경영층은 평소 저가였지만 회사에서 가장 좋은 제품을 중국시장에 선보였다고 자신했다. 그 결과 이제 LG는 그동안 입은 손실을 만회하기 시작했다. 손 사장은 “중저가 제품과 고가 제품 모두 중요하지만 올해 LG 목표는 고가시장 공략이다. 이를 위해 회사가 가진 모든 첨단기술을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의 라이벌인 삼성은 처음부터 중국의 고가시장을 공략해 성공했다. 1997년 한국의 외환위기 당시 어려움을 당한 삼성은 99년부터 생산라인을 고급제품 라인으로 바꾸기 시작했다. 이것이 바로 삼성이 중국시장에서 큰돈을 버는 비결이었다. LG도 그동안 노력해 디지털 가전과 정보통신·모니터 부문에서는 어느 정도 고급화가 이뤄졌다. 지난해 LG는 중국과 기타 지역에서 동시에 최신 PDP 제품을 출시했고 올해는 71인치 PDP와 500만 화소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전화를 선보였다. 손 사장은 제품의 고급화를 위해선 어느 정도 적응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한다. 부단한 연구개발이 필요하다는 것도 그는 알고 있다. 최근 들어 LG는 고급 휴대전화와 정보통신 제품의 시장 점유율을 점차 높여가고 있다. 앞으로 가전과 정보통신·휴대전화 매출 비중이 각각 3분의 1이 되도록 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광저우(廣州)에 있는 기업관리 회사의 한 임원은 “LG의 저가전략은 고급화로 가기 위한 전술 성격이 짙다. 이미 중국시장에서 인정을 받은 만큼 ‘고급화’에서도 상당한 시장점유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3000억원대 횡령’ 경남은행 중징계….“기존 고객 피해 없어”
2수능 2개 틀려도 서울대 의대 어려워…만점자 10명 안팎 예상
3중부내륙철도 충주-문경 구간 개통..."문경서 수도권까지 90분 걸려"
4경북 서남권에 초대형 복합레저형 관광단지 들어서
5LIG넥스원, 경북 구미에 최첨단 소나 시험시설 준공
6“내 버스 언제오나” 폭설 퇴근대란에 서울 지하철·버스 증회 운행
7안정보다 변화…이환주 KB라이프 대표, 차기 국민은행장 후보로
8 KB국민은행장 후보에 이환주 KB라이프 대표
9한스미디어, ‘인공지능 마케팅’ 기술 담긴 ‘AI로 팔아라’ 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