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액보험은 돈 가치 하락 예방
변액보험은 돈 가치 하락 예방
은퇴 설계를 잘해야 편안한 노후를 즐길 수 있다.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
이번에는 은퇴 시에 필요한 연금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흔히 연금의 ‘3중 안전장치’라고 말할 때 거론되는 첫 번째 상품은 단연 국민연금이다. 연금의 기본이다. 둘째는 퇴직연금(기업연금), 셋째는 개인연금이다. 보험전문가인 조윤석 PCA생명 FC(파이낸셜 컨설턴트)는“은퇴에 필요한 보험상품은 크게 보장성이 강한 보험과 저축성이 강한 보험으로 나눌 수 있다”며 “보장성 보험 중 대표는 종신보험·정기보험·건강보험이고, 저축성의 대표는 변액보험·저축보험·연금보험”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민연금이나 퇴직연금은 저축성이 돋보이는 보험”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연금이 있는지 알아보자.
◇국민연금=1988년에 도입된 국민연금은 국가가 사회보험의 원리를 도입해 만든 제도다. 가입자인 국민, 가입자를 고용하고 있는 사용자와 국가가 일정 금액(월 소득의 9%)의 보험료를 분담해서 낸다. 국가는 이 보험료를 모아서 운용하고 나중에 보험금으로 사용한다. 국민연금은 연금 지급액의 실질가치를 보장한다는 게 특징이다. 매년 물가가 오른 만큼 연금 지급액도 올라간다.
예를 들어 1988년에 연 100만원의 소득으로 국민연금에 가입했다고 치자. 이를 2008년에 재평가하면 연 430만원의 소득액이 된다. 그러면 2008년에는 연 430만원의 소득액을 기준으로 국민연금을 계산한다. 강창희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장은 “국민연금은 연금 중 필수품이고, 연금에 들 때는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연금은 단점도 있다. 실제로 받는 연금 수령액 자체가 계속 줄고 있는 것이다. 보험료 납입액이나 납입기간에 따라 조건이 조금씩 달라지지만 대략적으로 40년간 보험료를 내면 은퇴할 때 평균소득의 50%(소득대체율이 50%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를 받는다. 문제는 이 비율이 계속 낮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2008년에도 기존 60%에서 50%로 줄어들었다.
2028년부터는 40%로 낮아질 예정이다. 게다가 일반인들이 40년간 보험료를 계속 내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럴 경우 국민연금은 연금 구실을 제대로 못할 수도 있다. 최소 생활비 수준에 그친다는 것이다. 현재 국민연금은 더 심각한 문제에 부닥쳐 있다. 기금 자체가 고갈될 위험에 처해 있다는 지적이다.
◇퇴직연금=국민연금에 크게 기대하지 않는 이들은 퇴직연금과 개인연금에 들어 은퇴에 대비해야 한다. 이번에는 퇴직연금을 알아보자. 퇴직연금은 근로자의 노후소득보장을 위해 재직기간 중 퇴직금 지급 재원을 외부의 금융기관에 적립하고 이를 사용자(기업)나 근로자의 요구에 따라 운용하는 게 특징이다. 근로자가 퇴직할 때 연금이나 일시금 형태로 퇴직금 대신 지급한다.
선진국에서는 퇴직연금제도를 20~30년 전에 이미 도입했지만 우리나라는 2006년 들어서야 선보였다. 아직 퇴직연금 시행 초기라서 전체 근로자들이 퇴직연금 덕을 보는 게 쉽지 않다. 퇴직연금제도에는 확정급여형과 확정기여형, 개인퇴직계좌형이 있다. 확정급여형은 근로자가 퇴직 때 수령할 퇴직급여가 근무기간과 평균임금에 의해 사전적으로 확정된다.
확정급여형에서 퇴직금 액수를 결정짓는 변수는 임금인상률과 예상근속기간이다. 확정급여형을 선택하면 가입자는 퇴직금이 정해져 있는 상태이기에 퇴직자산 운용에 큰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전체 퇴직금의 60%가 사외에 적립된다. 단점도 있다. 회사가 파산하면 낸 돈의 40%를 못 받을 수 있고, 물가상승으로 퇴직금 자체의 가치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확정기여형은 사용자가 매년 연간 임금의 12분의 1 이상을 부담금으로 납부하고 근로자가 적립금의 운용방법을 결정하는 제도다. 투자형 상품이기에 퇴직자산이 줄어들 수도 있고, 원금손실이 일어날 수도 있다. 확정기여형을 선택할 때는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금융회사를 잘 골라야 한다.
개인퇴직계좌형 퇴직연금도 있다. 근로자가 퇴직하거나 직장을 옮길 때 퇴직금을 자기 이름의 퇴직 계좌에 적립해 연금 같은 노후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통상적으로 세 가지 유형 중 확정급여형과 확정기여형을 많이 선택한다.
◇개인연금=우재룡 한국펀드연구소 소장은 “은퇴 이후에 바라는 소득을 얻으려면, 은퇴 전에 개인연금 상품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금융회사들이 판매하고 있는 개인연금상품 중 대표적인 게 연금저축이다. 은행의 연금신탁, 보험사의 연금저축보험, 증권사의 연금저축펀드가 그것이다. 은행과 보험사의 연금상품은 예금자보호 대상인 게 특징이다. 1인당 1500만원까지 원금을 보장 받을 수 있다.
연금저축의 단점은 물가인상으로 연금저축에 들어간 돈의 가치가 떨어지는 걸 막을 수 없다는 점이다. 이럴 때 전문가들이 거론하는 상품이 바로 변액연금보험이다. 변액연금보험은 말 그대로 연금보험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일정 시점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또 보험계약자가 낸 보험료의 일부를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해 그 실적대로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투자형 상품이기 때문에 연금저축과 달리 돈 가치 하락을 막을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조윤석 FC는 강조했다.
변액연금보험을 받는 방법은 세 가지다. 하나는 확정연금형이다. 연금 개시 후 약정한 연금지급기간(5~20년) 동안 연금을 받을 수 있다. 종신연금형을 선택하면 연금 개시 후 피보험자가 사망할 때까지 계속 받는다. 상속연금형은 피보험자가 생존할 때 연금을 받다가 피보험자가 사망하면 사망 시점의 적립액을 상속인에게 준다.
변액연금을 받는 시점은 피보험자 나이가 만 45세부터 가능하다. 투자형 상품이라 원금 손실을 볼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이 상품에 가입할 때는 10년 이상의 장기투자를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삼성 임원, 몇 년 할 수 있을까?"...퇴임 임원 평균 나이, 56세
2팬 서비스에 진심...NPB GG 수상자, 시상식 금칠 퍼포먼스 '화제'
3'탈(脫) 하이브' 선언한 뉴진스 영향에 하이브 주가도 급락.. “주주 무슨 죄”
4차기 우리은행장 후보 정진완 부행장 “실추된 은행 신뢰회복”
5"아이폰도 접는다"…애플, 폴더블 개발 본격 착수
6삼성, 세대교체로 '인적쇄신'...30代 상무∙40代 부사장 다수 승진
7 차기 우리은행장 후보에 정진완 부행장
8"어린이용 버블 클렌저에 분사제로 LPG 사용?"…화재·폭발 주의
9엔지니어 중심의 인사 삼성벤처투자에도 이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