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직원 가족 상(喪) 제대로 챙기시나요?”

“직원 가족 상(喪) 제대로 챙기시나요?”


태어나 늙고, 병들어 죽는 것을 사람은 피할 수 없다. 게다가 돈이 든다. 그래서 생로병사 비즈니스는 늘 유망하다. 상(喪)을 돕는 비즈니스도 그중 하나다. 어느 날 갑자기 가족이 죽었을 때 슬픔과 황망함 뒤엔 장례 절차에 대한 고민이 따른다. 핵가족화하면서 이런 현상은 더 심해졌다.

이런 배경에서 출현한 것이 상조회사다. 국내에 상조회사는 300여 개. 최근 5년간 시장은 4배 이상 커졌다. 하지만 현재 상조시장은 엉망이다. 부실 영세 업체가 난립해 있다. 자본금이 1억원도 안 되는 곳이 태반이다. 할부식으로 내는 고객 납입금 지급 여력 비율이 50% 미만인 곳이 전체의 절반, 회사가 파산하면 고객에게 한 푼도 돌려줄 수 없는 곳도 허다하다.

에이플러스라이프는 신뢰를 잃은 상조시장에서 오히려 기회를 봤다. 이 회사의 모체는 국내 최대의 독립금융판매그룹인 에이플러스에셋이다. 정용 에이플러스라이프 대표는 “국내 상조회사 중 자본금이 10억원이 넘는 곳이 대여섯 곳뿐”이라며 “자본금 규모가 작다 보니 고객이 돈을 믿고 맡길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에이플러스라이프의 자본금은 70억원이다. 또한 고객이 납입한 돈의 절반은 기업은행에 예치했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상조업 관련 법안은 설립 자본금 3억원 이상, 등록제 전환, 소비자 납입금 최소 50% 이상을 금융기관 등에 예치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정 대표는 “정기적으로 회사 재정상황을 고객들에게 공시한다”고 밝혔다.

“상조회사 운영의 준칙은 무조건 신뢰”라는 이유에서다. 지난 2월 출범한 이 회사는 재무 안정성 외에 명인급 장례 의전으로 서비스를 차별화했다. 이 회사는 장례 전문가를 소장으로 영입해 장례문화연구소를 설립했고, 5년차 이상 장례의전관 66명을 외부에서 스카우트해 왔다.

정 대표는 “국장도 치를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상조 상품은 360만원부터 3억원까지 다양하다. 정 대표가 특히 신경 쓰는 곳은 기업 고객이다. 이 회사는 100% 후불제 상품인 ‘A+ 단체상조부금’ 상품을 내놨다.

“만약 A라는 회사가 이 단체상조부금 계약을 맺으면, 직원의 가족 사망 시 우리 장례의전팀이 A사 제복을 입거나 마크를 달고 의전 서비스를 나갑니다. A사 로고가 찍힌 장례물품도 저희가 준비하죠. 기업의 가입 비용은 없고, 모든 서비스는 후불식입니다. 각 기업이 직원 1인당 책정된 장례 관련 예산 범위 안에서 계약에 따라 저희에게 지급하면 됩니다. 회사는 비용과 법인세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죠. 직원들의 애사심도 고취할 수 있다고 봅니다.”

정 대표는 “기업에 제시한 품질보증을 이행하지 못하면 장례비용 전액 또는 일부를 환불한다”며 “직원의 장례행사 후 이용 만족도를 조사해 해당 기업에 피드백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단체상조부금 상품 외에 기업, 협회, 직능단체, 학회, 친목모임 등 조직원이 일괄적으로 에이플러스라이프와 계약을 맺는 상품도 출시했다. 정 대표는 “최근 한국성형학회 900명과 단체 계약을 했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2“교육은 종합예술과 비슷” 기술·트렌드 모두 잡는다

3‘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4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5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6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7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

8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9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실시간 뉴스

1'진로와 새로, 이제 우리도 효자'...주류업체 메인 넘보는 서브 브랜드의 반란

2“교육은 종합예술과 비슷” 기술·트렌드 모두 잡는다

3‘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4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5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