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소주·맥주 3잔 이상 음주는 위험

소주·맥주 3잔 이상 음주는 위험

음주의 적당한 양은 어느 정도일까. 서양인 남성은 하루 두세 잔, 여성은 한두 잔의 적포도주가 적당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이라면 건강한 성인을 기준으로 남성은 하루 와인 한 잔, 맥주 한 캔, 소주 두 잔이 좋다. 여성의 경우 남성의 절반을 권하고 싶다. 이 정도는 스트레스를 푸는 데 도움이 되고, 심혈관계에 좋다. 술로 인한 간 질환과 칼슘 대사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안전한 음주량이다.

물론 가장 좋은 건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다. 술을 마시고 싶지 않을 땐 거절하는 게 능사다. 다른 사람에게 억지로 권하는 것도 금물이다. 술을 굳이 마셔야 할 땐 몸에 해가 되지 않는 정도에서 멈춰야 한다. 성인 남자의 경우 소주는 하루 3잔, 맥주는 3잔, 양주는 2잔(알코올 30g 이하)이 최대 허용치다. 여자와 노인은 성인 남자의 절반이 적당하다. 알코올 50g(소주 5잔)이 넘으면 위험 정도가 중간, 알코올 90g(소주 1병)을 넘게 마시면 위험도가 놓은 음주에 해당된다.

술 마시는 방법을 지키는 것도 필요하다. 일단 천천히 마신다. 마시는 전체 알코올 양이 가장 중요하지만 마시는 속도에 따라 간 손상 정도가 달라진다. 천천히 마실수록 간 손상이 적은 것은 두말하면 잔소리다. 빈 속에 마시는 것도 금물이다. 술의 많은 부분이 흡수되기 때문이다.

식사를 하거나 충분한 안주와 함께 마시면 알코올의 흡수를 줄일 수 있다. 술 마시기 전이나 중간중간 물이나 다른 음료를 마시는 것도 중요하다. 노래를 하거나 대화를 많이 하는 것도 좋다. 음주량이 줄고, 호흡으로 알코올이 몸 밖으로 배출된다. 여러 종류의 술을 섞어 마시는 건 절대 금기 사항이다. 폭탄주는 약한 술이 독한 술의 흡수를 촉진해 빨리 취하게 한다. 한번 술을 마시면 2~3일은 금주를 해 간이 회복되도록 한다. 알코올로 손상된 간이 충분히 회복되기 전에 다시 술을 마시면 간 손상이 누적돼 간경화나 간암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

술을 줄이려는 노력도 계속해야 한다. 이런 방법이 좋다. 무엇보다 집에 술을 두지 않는다. 일주일에 술을 마시지 않는 날을 정한다. 자기 나름대로 술을 거절하는 기술을 개발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운동·영화감상·노래방 등 술을 대신할 수 있는 놀이문화를 찾는다. 술을 마시는 이유 중 하나는 마땅한 놀이문화가 없어서다. 직장 회식을 술자리 말고 음악회나 연극관람, 운동 등으로 대체하는 것도 과음을 피하는 방법이다.

술 줄이는 일은 쉬운 게 아니기 때문에 주변의 적극적 지지를 얻어야 한다. 우울하거나 화가 나거나 기분이 나쁠 때 술을 마시는 것도 좋지 않다. 폭음으로 이어지기 쉬우며 스트레스가 풀리기는커녕 더 쌓이게 마련이다.

술을 줄이는 건 체중조절만큼 어렵다.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실망하지 말고, 실패했다면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게 술을 줄이거나 끊는 기본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한국거래소, 2024년 상반기 회원사 대표이사 간담회 개최

2삼성자산, KODEX 미국AI테크TOP10 ETF 상장

3한투운용 ETF 순자산 10조 돌파…KB운용과 점유율차 1% 이내

4SK이노 소셜 벤처 ‘마린이노베이션’…美 진출 기회 모색

5한국아이테라피센터, ‘전문 시기능훈련’ 세미나 개최

6현대제철, 탄소저감 강판 판매 기반 구축…유럽 고객사와 MOU

7스타라이크, ‘콘텐츠 전문가’ 문현웅 CSO 영입…“탄력적 성장 기대”

8현대건설‧신한라이프케어, '시니어 주거모델 개발' 협력

9코인거래소 파산하면 은행이 이용자에게 예치금 지급한다

실시간 뉴스

1한국거래소, 2024년 상반기 회원사 대표이사 간담회 개최

2삼성자산, KODEX 미국AI테크TOP10 ETF 상장

3한투운용 ETF 순자산 10조 돌파…KB운용과 점유율차 1% 이내

4SK이노 소셜 벤처 ‘마린이노베이션’…美 진출 기회 모색

5한국아이테라피센터, ‘전문 시기능훈련’ 세미나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