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Media - 운영·내용·편성 두루 압도적 1위

Media - 운영·내용·편성 두루 압도적 1위

JTBC, 24개 항목 중 16개 1위 제작비도 타사의 곱절 수준
JTBC는 지난 1년간 차별화된 콘텐트로 사랑을 받았다. 인기드라마 ‘아내의 자격’ ‘무자식 상팔자’와 예능 프로그램 ‘히든싱어’ ‘썰전’(왼쪽부터).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 출범 이후 처음 실시된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의 방송평가에서 JTBC가 압도적 1등을 차지했다. 방통위 방송평가위원회는 10월 30일 회의를 열고 ‘2013년도 종편 4사 방송평가’ 결과를 확정했다. JTBC는 이번 평가에서 총점 559.6점을 획득해 1위에 올랐다.

2~4등은 A사(554.2점)·B사(546.7점)·C사(542.6점) 순이었다. 각각 5.4점, 12.9점, 17점을 앞섰다. 앞서 JTBC는 2010년 종합편성채널 선정 심사에서도 850.79점으로 1등을 차지했다. 이번 정부 평가를 통해 다시 한번 JTBC가 ‘1등 종합편성채널’임을 확인한 셈이다.

방통위는 지상파·종편·보도전문채널 등을 상대로 해마다 방송평가를 실시한다. 평가 대상은 직전 연도의 방송프로그램과 경영 실적이다. 평가의 목적은 방송사로서의 공적 책임을 다하고 있는지 면밀히 점검하는 것이다. 방송평가는 총점 700점으로 운영(275점)·내용(210점)·편성(215점) 3개 부문 24개 항목으로 구성된다.

각 심사항목은 상대평가로 이뤄지며, 채점자의 주관이 개입하지 않도록 세세히 계량화돼 있다. 특히 이번 방송평가 점수는 내년 3월 종편 재승인 심사 때 총점 1000점 중 350점의 비중(35%)으로 반영된다. 재승인 심사 9개 항목 중에서도 비중이 가장 크다.

이번 첫 평가에서 JTBC는 총 24개 항목 중 16개 항목에서 1순위를 기록했다. 운영 부문에서는 ‘재무건전성’ ‘내부감사’ ‘기술투자’ ‘공정거래법 준수’ 등 9개 항목에서 1위였다. 내용 부문에서는 ‘자체평가’ ‘심의규정 준수’ ‘시청자 의견반영‘ 등에서, 편성 부문에서는’ ‘편성규정 준수’ ‘시청자위원회’ 등에서 압도적 우위를 보였다.

이번 평가에 참여한 관계자들은 “종편을 지상파식으로 채점하면서 애초 종편 도입 취지는 평가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지상파방송 평가의 경우 오락프로그램이 넘쳐날 것을 우려해 ‘보도·교양 프로그램’ 편성을 많이 할수록 점수를 많이 얻는 구조다. 그래서 EBS가 매년 부동의 1위를 차지한다.



일부 종편, 뉴스·토론 과다 편성그래서 일부 종편은 지난해 전체 방송시간의 40~50%를 뉴스나 토론프로그램으로 채우고도 ‘편성부문’에서 고득점을 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다양한 장르의 콘텐트를 공급해 새로운 콘텐트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종편 도입의 명분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특히 ‘재난방송’ 심사항목이 큰 문제로 떠올랐다. 배점이 둘째로 높은 재난방송(65점)은 태풍·지진 등을 다루는 뉴스특보를 많이 할수록 고득점이 된다. 지상파 재난방송 배점(60점)과 비교해도 과도하다는 비판이 나왔다.

올 상반기(1~6월) 종편 4사 보도 편성 비중은 MBN 44.8%, TV조선 48.3%, 채널A 47.5%로 JTBC 14.1%만 유일하게 지상파방송 수준(20%)을 유지했다. 그러나 내년에 진행될 ‘2014년도 방송평가’도 올해 심사기준과 다르지 않아서 방통위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지난해 종편 4사의 방송프로그램 제작비를 보면 JTBC는 1625억원으로 MBN(802억원)·TV조선(861억원)·채널A(942억원)에 비해 곱절 수준이었다. 제작비 차이는 콘텐트 차별화로 이어졌다. 유료채널 드라마임에도 최고시청률 13%를 기록한 드라마 ‘무자식상팔자’와 사회적 신드롬까지 만든 ‘아내의 자격’, 오디션 음악프로의 포맷을 바꾼 ‘히든싱어’, 한국 갤럽이 매달 조사는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프로그램’ 순위에서 3차례나 톱10에 오른 ‘썰전’ 등이 JTBC의 성과를 높였다.

또 백상예술대상과 골든디스크·더 뮤지컬어워즈 3대 시상식과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동아시안컵축구대회, 월드컵예선전의 단독 중계방송 등 다양한 장르에서 시청자의 오감을 만족시켰다는 평이다. 방통위는 11월 14일 전체회의를 열고 이번 평과 결과를 최종의결할 계획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2한진家 막내딸 조현민 사장, 자사주 2억원어치 매입

3 합참 "北서 띄운 '오물풍선' 추정 물체 포착"

4SK팜테코 美 버지니아 공장, 노보 노디스크에 팔리나

5"최태원 회장 주식 처분 막아달라"던 노소영...가처분 항고 취하

6스마트 로봇 혁신지구로 거듭나는 '대구 침산공단'... 로봇부품 생산거점으로 속속 전환

7역대급으로 찾아온 대구 치맥 페스티벌, '대구로'와 손잡고 각종 연계서비스 출시

8경북 바이오·백신산업, 국제백신연구소와 손잡고 세계 시장 도약

9대구시의회, 제9대 후반기 의장단 선출... 의장에 이만규 의원 재선

실시간 뉴스

1DGB금융, 하반기 조직개편…디지털 경쟁력 강화 초점

2한진家 막내딸 조현민 사장, 자사주 2억원어치 매입

3 합참 "北서 띄운 '오물풍선' 추정 물체 포착"

4SK팜테코 美 버지니아 공장, 노보 노디스크에 팔리나

5"최태원 회장 주식 처분 막아달라"던 노소영...가처분 항고 취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