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병마용 보존의 비밀 밝혀지나

병마용 보존의 비밀 밝혀지나

진시황릉 테라코타 군대의 청동 무기가 녹슬지 않은 이유는 기술 아닌 환경적 요인이라는 연구 결과 나와
진시황릉에서 출토된 병마용. 이 군대는 진시황 사후에 그를 지키기 위해 그와 함께 황릉에 묻혔다. / 사진:WIKIPEDIA.ORG
진시황릉의 병마용(Terracotta Army) 보존 비결을 둘러싼 오래된 미스터리가 이제야 풀린 듯하다. 한때 병마용의 청동 무기가 녹슬지 않는 이유가 진 왕조의 발전된 녹 방지 기술 덕분이라고 알려지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서 황릉이 세워진 지역의 자연조건이 보존에 도움을 준 것으로 드러났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고고학과의 마르코스 마르티농-토레스 교수에 따르면 중국과 영국의 공동 연구팀은 ‘진시황릉 같은 거대하고 복잡한 유적’을 만들어내기까지 중국 고대문명이 기술 지식과 예술 기교, 노동력, 재료를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밝혀내고자 했다.

연대가 기원전 210~20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병마용은 중국의 진 왕조를 세운 통일 중국 최초의 황제 진시황을 위해 만들어졌다. 이 군대는 테라코타로 만든 8000명의 전사와 13대의 전차, 520마리의 말, 150명의 기마병으로 구성됐다. 이 군대는 진시황 사후에 그를 지키기 위해 그와 함께 황릉에 묻혔다.

1970년대에 진시황릉이 발굴된 이후 과학자들은 이 능과 주변에서 발견된 유물들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보존됐는지 연구해 왔다. 병마용의 무기에서 크롬의 흔적이 발견되자 과학자들은 그것이 녹 방지를 위해 의도적으로 첨가된 것이라고 믿었다. “과학자들은 진 왕조의 장인들이 이 무기를 보존하기 위해 고도로 발전된 기술을 이용했을 가능성에 매료됐다”고 마르티농-토레스 교수는 말했다. “1970년대 말과 1980년대 초 중국 전문가들이 진행한 선구적인 과학 연구는 철저하고 설득력이 있었다. 고대에 크롬을 기반으로 한 녹 방지 기술이 이용됐을 것이라는 결과는 매우 놀라웠지만, 진시황릉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는 매혹적이고 놀라운 발견으로 가득했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에 발표된 연구는 그 가설을 뒤집었다. 이 연구에서 마르티농-토레스 교수와 동료들은 청동 무기를 분석한 결과 거기서 발견된 크롬은 무기의 목재 부분을 칠한 재료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연구팀은 황릉에서 발견된 무기 약 500점을 분석했는데 크롬이 발견된 무기는 그중 37점에 불과했다. 나무로 된 손잡이 부위에서 주로 발견됐으며 화살촉이나 칼날에서 발견된 경우는 아주 드물었다.

연구팀은 이 무기들이 잘 보존된 데는 환경적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새로운 가설을 내놓았다. 무기를 만든 청동의 높은 주석 함량과 황릉이 위치한 토양의 구성성분이 녹 방지에 도움을 줬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마르티농-토레스 교수는 고대 중국인이 발전된 녹 방지 기술을 갖고 있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가 실망스러울 건 없다고 말했다. 그는 “병마용엔 진 왕조 장인들의 뛰어난 기술과 독창성을 보여주는 요소가 많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로 그 존재가치가 떨어지진 않는다”고 말했다.

- 한나 오스본 뉴스위크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2‘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3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4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

5“세금 한 푼 안내고”…자녀에 50억 아파트 편법 증여, 156명 세무조사

6美 계란값 폭등 '12개 7200원'...바이든 정부 책임?

7레페리, 알렉스디자인 인수 2년 성과 발표...“올해도 다양한 프로젝트 추진”

8“우리 아티스트 비웃지 마라”...가상 아이돌 시대, ‘플레이브’ 비하 논란

9“코스트코 어쩌나”...韓 창고형 할인점 대박 터졌다

실시간 뉴스

1이재명 “민주당 집권 땐 코스피 3000 간다”

2‘홍콩 재벌 3세 사망’ 강남 성형 집도의, 업무상과실치사 ‘무죄’ 이유는

3전국 집값, 연초 더 떨어졌다...전셋값도 하락 전환

4정부, 올해 지적재조사사업에 418억 투입…민간 참여 47%로 확대

5“세금 한 푼 안내고”…자녀에 50억 아파트 편법 증여, 156명 세무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