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CHECK! REPORT

CHECK! REPORT

 한국CXO연구소 | 국민연금 보유 삼성전자 지분 35조원
국민연금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 가치가 2016년 19조원에서 2019년 35조원으로 3년 사이 80% 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으로 국민연금이 지분 5% 이상을 보유한 국내 상장사는 총 298곳이다. 이번 조사는 금융감독원 자료를 참고해서 이뤄졌다. 주식평가액은 국민연금 보유 주식 수에 지난 12월 27일 보통주 종가를 곱해서 산정했다. 국민연금이 지분 5% 이상을 보유한 국내 상장사의 주식 평가액은 총 118조8382억원에 이른다. 이중 29.8%를 삼성전자 지분이 차지했다. 2016년 7월 말 국민연금이 보유한 삼성전자 주식 가치는 19조3541억원이었다. 현재는 35조3734억원으로, 만 3년이 채 안되는 사이에 16조원이나 주식 평가액이 높아진 것이다. 비율로 보면 82.8% 상승했다. 국민연금이 5% 이상을 보유한 상장사 중 주식 가치액 2위는 SK하이닉스였다. 2016년 1조9557억원에서 2019년 말 6조9934억원으로 뛰었다. 이어 네이버(3조3576억원), 현대모비스(2조7634억원), 현대차(2조5879억원), 포스코(2조4380억원), LG화학(2조1504억원), SK텔레콤(2조1049억원) 순으로 국민연금의 지분 가치가 높았다. 이들 기업을 포함해 이번 조사에서 국민연금 주식가치가 1조원 넘는 곳은 모두 25곳으로 조사됐다. 2016년과 견줘 7곳 더 많아졌다. 298곳 중 국민연금이 최대 주주인 곳은 포스코, 네이버, KT&G, 주요 금융지주사 등 모두 9곳이었다. 국민연금이 2대 주주인 곳이 전체의 78.9%(235곳)에 달했다. 삼성전자도 국민연금이 2대 주주다.
 금융감독원 | ‘IPO 최대’ 주식 발행 3000억원 증가
2019년 11월 기업이 발행한 주식 규모가 급증했다. 기업공개(IPO)가 최대치를 기록했고 유상증자가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은 11월 기업이 주식을 통해 조달한 금액이 총 7748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월 4841억원에 비해 60.0%나 증가한 수치다. 11월에는 기업공개가 17건, 5234억원을 기록하며 전월에 비해 33.4%나 증가했다. 이달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기업은 한화시스템·현대에너지솔루션·센트랄모텍 등 3곳이고, 코스닥기업은 아이티엠반도체·라파스·제테마 등 14곳이다. 유상증자도 7건(코스피 1건, 코스닥 6건)·2514억원으로 전월(3건·916억 원)보다 4건·1598억원(174.5%) 증가했다. 회사채는 총 284건, 11조3983억원으로 전월에 비해 43.6% 감소했다. 일반회사채는 1조7080억원으로 전월에 비해 75.9% 줄었다. 주로 운영 목적의 중·장기채 위주로 발행됐다. 금융채는 17건, 8조5255억원으로 전월에 비해 21.6% 감소했다. 금융지주채가 97.6% 감소했고, 은행채는 24.5% 증가했다. 11월 기업어음(CP)와 단기사채 발행금액은 151조1019억원으로 전월에 비해 10.1% 증가했다. CP는 42조4558억원 발행돼 전월에 비해 17.4% 늘었다. 단기사채는 108조6461억원으로 전월에 비해 7.5% 증가했다. 회사별 발행액은 신한은행 1조4545억원, 국민은행 5000억원, 신한카드 4500억원, 롯데카드 4200억원 등이다. 이 기간 기업어음(CP) 및 단기사채 발행실적은 151조1019억원으로 전월 대비 13조8694억원(10.1%) 늘었다.
 한국감정원 | 12월 서울·전국 아파트값 초강세
2019년 마지막 달 서울 아파트값이 2018년 9·13 대책 이후 최대폭으로 상승했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값 강세로 전국의 아파트값도 4년여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한국감정원 조사에 따르면 12월 서울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1.24% 올랐다. 월간 단위로는 2018년 9월(1.84%)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이다.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 이후 공급 부족 우려가 확산하며 새 아파트는 물론 재건축 대상까지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경기도는 과천·광명·하남·성남 등지의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이면서 한달 새 0.68% 뛰었다. 이는 2015년 4월(0.83%) 이후 4년 8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최근 조정대상지역 해제로 장기간 하락세였던 고양·일산 등지의 아파트값도 강세로 돌아서는 등 서울지역 상승세가 경기 일원으로 확산한 모습이다. 수도권 아파트값 강세로 12월 전국의 아파트값도 11월보다 0.51% 오르며 2015년 6월(0.53%) 이후 4년 반 만에 최대 상승했다. 광역시·도에서는 정비사업 호재가 있는 대전이 한달 만에 무려 1.43% 올라 서울 상승폭을 뛰어넘었다. 새 아파트가 많은 세종도 1.02% 급등했다.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된 부산 역시 0.55%로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아파트와 단독·연립주택을 모두 포함한 전국의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12월 기준 0.38% 올랐다. 2015년 6월(0.38%) 이후 4년 반만에 최대 상승폭이다. 서울의 집값은 전국의 2배가 넘는 0.86% 상승했다. 구별로 강남구가 학군 수요, 삼성동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개발 호재 등으로 무려 2.24%나 뛰었고 송파구도 1.72%, 강동구 1.70%, 서초구가 1.56%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이번 조사는 11월 12일부터 12월 9일까지의 시세 변동이어서 12월 16일 이후 발표된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과 공시가격 신뢰성 제고 방안 등의 규제 효과는 가격에 반영되지 않았다.
 한국생산성본부 | 2019년 3분기 노동생산성 0.7%↓
2019년 3분기 노동생산성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산성본부는 전산업 노동생산성지수가 전년 3분기 대비 0.7% 감소한 109.4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노동생산성지수는 부가가치나 산업생산 등 산출량을 노동투입량으로 나눈 비율로 노동생산성을 측정하는 지표다. 부가가치가 크고 노동투입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난다. 3분기 부가가치는 1.8%, 노동투입은 2.5% 증가했다. 노동투입이 부가가치보다 더 큰 폭으로 늘면서 노동생산성지수가 하락했다. 부가가치는 정부소비 증가율이 늘었지만 민간소비와 수출 증가율이 둔화하고 건설·설비투자가 줄면서 증가율이 지난해의 2.1%보다 감소했다. 노동투입은 근로자수 증가율이 확대되고 근로시간 증가율이 반등하면서 지난해 -4.9%에서 플러스로 전환됐다. 주 52시간제 도입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근로시간은 추석 휴일이 2018년보다 하루 감소하고 근로일수는 0.3일 늘면서 다시 늘어났다. 제조업 노동생산성지수는 전년보다 1.5% 증가한 119.5로 나타났다. 부가가치는 1.8%, 노통투입은 0.3% 늘었다. 서비스업 노동생산성지수는 0.8% 감소한 107.3이었다. 부가가치는 2.5%, 노동투입은 3.3% 증가했다.
 CEO스코어 | 이건희·이재용, 주식가치 1년 새 5조 증가
‘국내 주식부호 1위’ 이건희 삼성 회장의 주식가치가 2019년에만 4조원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바이오 쇼크’ 영향으로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9000억원가량 줄었다. 기업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가 국내 상장사 주식을 보유한 개인 2만2327명을 분석한 결과다. 이건희 회장이 보유한 주식가치는 2019년 1월 2일 13조6000억원에서 12월 30일 17조6000억원으로 1년 새 4조원 이상 늘었다. 삼성전자 가치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이 회장은 삼성전자 지분 4.18%를 보유하고 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 주식을 각각 0.91%, 0.7%씩 보유한 부인 홍라희 여사와 장남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주식가치도 조 단위로 증가했다. 이재용 부회장은 6조6000억원에서 7조4000억원으로 늘어 2위를 유지했다. 홍라희 여사도 1조원가량 증가한 3조원으로 6위에 올랐다. 삼성물산 지분 보유 비율이 높은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과 이서현 삼성복지재단 이사장은 각각 1조7000억원으로 100억원가량 증가했다. 감소폭은 바이오·제약에서 유독 컸다. 올해 코오롱 인보사 품목허가 취소, 신라젠 펙사벡 임상 중단 등 연이은 악재로 산업 전반이 흔들린 탓이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3조6500억원에서 2조7200억원으로 9000억원가량 줄며 감소액 1위를 기록했다. 서 회장은 주식가치 순위에서도 4위에서 7위로 내려앉았다. 임성기 한미약품 회장(-8500억원), 이웅렬 전 코오롱 회장(-5600억원), 전현호 메디톡스 대표(-2800억원), 김선영 헬릭스미스 대표(-2300억원), 문은상 신라젠 대표(-2100억원) 등의 감소폭도 컸다.
 국제결제은행 | 소득 대비 민간부채 증가세 ‘주의’ 단계
기업부채 증가 속도가 빨라지면서 소득에 견준 민간 부문의 빚 증가 속도가 ‘주의’ 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결제은행(BIS)과 한국은행 통계를 종합하면 우리나라의 신용갭은 2019년 9월 말 현재 5.3% 포인트로 2010년 6월 말(6.8%포인트) 이후 9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 신용갭이란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하 민간신용비율)이 장기 추세에서 얼마나 떨어졌는지를 측정하는 부채평가 지표다. 민간신용비율 상승 속도가 과거 추세보다 빠를수록 갭이 벌어지는데, BIS는 국가별 신용 리스크 누적 정도를 평가하는 데 이 지표를 활용한다. BIS는 신용갭이 10%포인트를 초과하면 ‘경보’ 단계, 2∼10%포인트 사이면 ‘주의’ 단계, 2%포인트 미만은 ‘보통’ 단계로 분류한다. 우리나라의 신용갭은 2017년 12월 말(-2.4%포인트)을 기점으로 상승 전환해 2019년 6월 말(3.9%포인트) 주의 단계에 진입했다. 9월 말 민간신용비율이 194.5%로 6월 말(192.1%) 대비 2.4%포인트 상승하면서 장기 추세와 격차는 더 벌어지게 됐다. 이 같은 민간신용비율 상승은 명목 소득 증가세가 둔화한 데 비해 기업을 중심으로 빚 증가 속도는 빨라진 데서 비롯한다. 한은은 12월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민간신용비율은 2018년부터 상승세가 뚜렷해졌는데, 이는 민간신용 증가율의 상승보다는 명목 GDP 증가율 둔화에 기인한다”고 평가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민간신용 증가율은 2018년 이후 6% 내외의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과도한 부채 문제가 지적돼온 중국은 최근 몇년간 부채감축(디레버리징) 정책을 펼친 결과 신용갭을 크게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신용갭은 2016년 3월 말만 해도 경보 단계인 23.5%포인트에 달했으나 이후 하락세로 전환해 2019년 6월 말 현재 보통 단계인 1.5%포인트로 하락했다. 한국(6월 말 기준 3.9%포인트)과 신용갭이 역전된 것이다.

- 정리=황정일 기자 obidius@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유엔이 전망한 ‘한국 경제’ 성장률...“올해 2.2%”

2‘악마, 베르사체도 입을까’...“프라다, 인수 검토 중”

3대체거래소 출범해도 IPO 기업은 상장일 다음날 거래…왜일까

4현대차와 ‘드리프트 킹’의 만남...‘아이오닉 5 N DK 에디션’ 첫 선

5“작지만 강하다”...한국 ‘여권 파워’ 세계 3위

6“무안공항 참사, 잘못된 표현”...국토부·유가족 협의 ‘공식 명칭’은

7현대차증권 2000억 규모 유상증자 계획 금감원 통과

8‘분리할 결심’ 정용진, 모친 이명희 이마트 지분 전량 매입 단행

9코스닥 입성 앞둔 데이원컴퍼니 “글로벌 K-에듀 콘테츠 기업 목표”

실시간 뉴스

1유엔이 전망한 ‘한국 경제’ 성장률...“올해 2.2%”

2‘악마, 베르사체도 입을까’...“프라다, 인수 검토 중”

3대체거래소 출범해도 IPO 기업은 상장일 다음날 거래…왜일까

4현대차와 ‘드리프트 킹’의 만남...‘아이오닉 5 N DK 에디션’ 첫 선

5“작지만 강하다”...한국 ‘여권 파워’ 세계 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