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의점 본사 매출 27% 느는 동안 점주 수입 5% 줄어들었다 [2021 국감]
출점 경쟁 속 2016년 대비 1만3408개 늘어
가맹본부 매출, 16조에서 20조로 27% 증가
편의점 사업자 매출은 1억1300만원 감소
윤관석 의원 “과다출혈경쟁 탓…자율규약 연장 필요”
GS25·CU·세븐일레븐·이마트24 등 이른바 ‘빅4’ 편의점 본사의 매출은 지속해서 늘어난 반면, 편의점 가맹점주의 매출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국회 정무위원회)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빅4 편의점 가맹본부 매출액 및 가맹점 매출액 현황’을 분석한 결과, 빅4 편의점(GS25·CU·세븐일레븐·이마트24)의 가맹점 수는 매년 꾸준히 늘어났다. 가맹점 기준 업계 1, 2위를 다투고 있는 GS25와 CU의 지난해 점포 수는 각각 1만4593개, 1만4737개를 기록했다. 이는 2016년과 비교해 각각 37.6%, 37.1% 증가한 숫자다. 뒤이어 세븐일레븐은 1만294개를 기록하며 2016년 대비 25.4%의 점포 증가율을 보였다.
가장 높은 확장세를 보인 것은 이마트24였다. 지난해 기준 총 5082개의 점포를 보유하고 있는 이마트24의 증가율은 191.7%였다. 4년 전과 비교해 약 3340개 늘었다.
가맹점포 수가 늘어남에 따라 가맹본부, 즉 본사의 매출도 덩달아 증가했다. 2016년 대비 2020년 빅4 편의점 매출액은 약 16조586억원에서 약 20조4316억원으로 늘었다. 특히 코로나19 대유행으로 경기침체를 겪었던 지난해에도 빅4 편의점의 평균 매출액은 2.5%(약 4920억원)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0.1%(-2억원) 감소하며 선방했다. 이처럼 편의점 매출액이 증가한 이유로는 1·2인 가구의 증가로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편의점별로 보면 2016년 매출액 7조1862억원을 기록했던 GS25의 지난해 매출액은 8조5692억원이었다. 영업이익은 2016년 2082억원에서 2597억원으로 늘었다.
2016년 각각 매출 4조9412억과 3조5527억원을 기록했던 CU와 세븐일레븐도 오름세를 보였다. CU는 지난해 약 6조1678억원, 세븐일레븐은 약 4조68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다만 두 곳 모두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CU의 영업이익은 2016년 1969억원에서 1636억원으로, 세븐일레븐은 2016년 466억원에서 83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2016년 매출과 영업이익을 각각 3784억원, -350억원을 기록했던 이마트24의 경우 상황이 호전됐다. 이마트24의 지난해 매출은 1조6261억원을, 영업이익은 –218억원의 성적을 냈다.
2016년 대비 2020년 빅4 편의점 본사의 평균 매출액은 4조3729억원(+27.2%) 증가했지만, 가맹점 사업자의 평균 매출액은 1억1300만원(-5.1%)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업장별 2016년 대비 2020년 가맹점 사업자 평균 매출액을 비교하면 GS25는 6억7900만원에서 6억2400만원으로, CU는 6억1700만원에서 5억8400만원, 세븐일레븐은 4억9900만원에서 4억6500만원으로 감소했다. 이마트24만 4억500만원에서 4억1500만원으로 유일하게 증가했다. 이마트24를 제외한 나머지 편의점을 운영 중인 가맹점주의 수입은 감소했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전국 17개 시도 편의점 가맹점 평균 매출액 증감 현황은 세종과 대구(–1억5000만원), 부산(-1억1700만원), 서울(-1억1300만원), 대전(-8600만원), 제주(-8200만원), 강원·경북(각 –6100만원), 광주(-5500만원), 울산(-4700만원), 충북(-3800만원), 경기(-2600만원), 인천(-1800만원), 충남(-600만원) 순으로 매출액이 감소했다. 매출액이 증가한 지역은 전남(+3600만원), 경남(+400만원), 전북(+100만원) 3곳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윤관석 의원은 “편의점의 공세적 점포 수 확장으로 점주들이 과다출혈경쟁에 내몰리고 있다”면서 “편의점주 경영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공정위가 2018년부터 시행해온 편의점 자율규약의 3년 일몰기한이 다가와 오는 12월 종료를 앞둔 만큼 추가 연장을 비롯한 심도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허인회 기자 heo.inhoe@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비트코인 강보합…시총 4위 리플 14% 폭등
2“진짜 ‘디지털 금’ 되겠네”…트럼프의 비트코인 전략자산화 방안은
3수출 경쟁력 회복과 금리 인하…한국 경제의 과제
4트럼프, 아랍·중동문제 고문에 사돈 '불로스' 지명
52025년 경제도 전쟁도, '트럼프 입'에 달렸다
6트럼프 오니 겐슬러 가네…美SEC 위원장 사임, 코인판에 어떤 의미일까
7'어느새 10년' 국내 치킨 유행 바꾼 '뿌링클 신화'는 어떻게 시작됐나
8‘10호 종투사’ 출사표 던진 대신증권...교보증권에 쏠리는 눈
9국세청 조영탁 서기관, 15년이 넘도록 이어진 세무 ‘재능 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