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미 35주년 공연도 취소한 유럽…위드 코로나 ‘폐지’ 수순
유럽 전역서 전방위 방역 규제 부활 조짐
재택근무 권고, 다중이용시설 단축 영업
미접종자에 출입제한 등 불이익 가하기도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최근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의 3분의 2가량이 유럽에서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7일(현지시간) WHO의 주간 역학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8~14일 유럽에서는 전 세계 감염자 수의 64%에 해당하는 214만5966명, 사망자 수는 세계 57%인 2만8304명을 기록했다. 유럽의 신규 감염자 수와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각각 8%, 5% 증가했다.

접종 완료 90% 육박한 아일랜드도 거리두기 부활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아일랜드는 16일(현지시간) 기업들이 재택근무를 원칙으로 하도록 하고 식당·술집은 자정 후 영업을 금지하기로 했다. 영화관은 백신 접종 기록(백신 패스)을 확인 받아야만 입장할 수 있다. 확진자와 접촉한 사람은 5일간 자가 격리를 해야 하고 항원 테스트를 받아야 한다.
앞서 아일랜드는 지난달 22일(현지시각) 전면적인 방역 규제 완화에 들어간 바 있다. 하지만 한 달도 안 돼 위드 코로나 방침을 폐기하고, 거리두기 규제 재강화에 나선 것이다.
아일랜드는 높은 백신 접종률에도 불구하고 신규 확진자 수가 올해 들어 최다 수준을 기록 중이다. 아일랜드에서 2차 접종까지 마친 사람은 12세 이상 인구의 89%에 달한다. 하지만 신규 확진자 수는 16일(현지시간) 기준 4407명으로, 아일랜드에서 코로나19 확산세가 극심했던 지난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미홀 마틴(Micheál Martin) 아일랜드 총리는 방역 재강화 조치를 발표하면서 “지금과 같은 속도로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늘어나게 되면 세상의 어떤 의료 시스템도 이를 감당할 수 없게 된다”라고 말했다. 이에 아일랜드는 기저 질환자와 50세 이상 국민에 대해 추가접종(부스터샷)을 시행하기로 했다.
네덜란드 역시 코로나19 대유행을 막기 위해 3주간 다중이용시설(마트·유흥시설·식당 등)의 영업 단축과 재택근무 권고 등 거리두기 조치를 재도입했다. 그럼에도 코로나19확산세는 꺾일 기세가 보이지 않는다. 16일(현지시간) 기준 2만168명의 신규 감염되며 역대 최다 확진자 수를 기록한 것이다.

미접종자 외출 금지 수준 패널티 가한다
체코 정부도 다음 주부터 미접종자의 공공 행사나 서비스에 대한 접근에 제약을 가한다. 안드레이 바비시 체코 총리는 최근 내각 회의에서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오스트리아도 지난 15일(현지시간)부터 12세 이상 백신 미접종자에게 외출 제한을 내렸다. 19일(현지시간) 수도 빈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조수미 소프라노의 세계 무대 데뷔 35주년 기념 공연도 취소됐다.
프랑스와 이탈리아도 점차 방역을 강화하는 중이다. 프랑스 보건부는 17일(현지시간) 코로나19 확진자가 전날보다 2만294명 증가해 8월 25일 이후 최다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프랑스는 다음 달부터 백신 3차 접종을 마친 65세 이상에만 백신 접종 증명서를 발급하기로 했으며, 기업들의 재택 근무 권고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1만명을 넘어선 이탈리아도 로마·밀라노 등 주요 대도시의 기차역에서 그린 패스(면역증명서) 점검을 강화하는 내용의 새 방역 행정명령에 승인했다.
우리나라도 위드 코로나 전환 후 확진자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18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3292명을 기록했다. 지난 9월 25일 기록한 역대 최다 기록인 3270명을 넘어선 수치다.
방역 당국은 일일 최대 7000명, 비상시 최대 1만 명의 확진자를 관리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위증증 환자도 함께 증가하면서 위드 코로나 정책의 지속 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질병관리청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은 지난 17일 ‘코로나19 위험도 평가 지표’를 공개하고, 위드 코로나 이후 유행 상황을 관찰하고 대응 방안을 검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했다.
정지원 기자 jung.jeewon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美에 바둑판 짜는 정의선...‘포석’ 깔고 ‘집’ 짓는 현대차그룹
2뉴욕증시, 美 상호관세 충격에 팬데믹 이후 최악…나스닥 6%↓
3뉴욕유가, 트럼프 관세 폭탄에 경기침체 우려로 급락…WTI 6.6%↓
4“삼성, 中 연 매출만 64조원”...이재용, ‘가전→전장’ 공략으로 새 中드라이브
5만원대 청바지로 홀렸다...이랜드 패션 야심작 'NC베이직' 초반 순항
6챗GPT의 '지브리 그림체' 유행이 씁쓸한 이유
7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백악관 "부속서 따라야"
8'펭리둥절' 남극에도 트럼프 관세?…"안전한 곳 없어"
9경북도, 산불피해 농어촌에 긴급자금 200억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