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패스에 유효기간 정해지나?…코로나19 유행 위험도 지난주 '매우 높음'
"비상조치 발령 계획은 없어…해외는 6~9개월 수준 유효기간 둬"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2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 발표에서 전국 수준에서는 위험도가 ‘높음’이라고 평가했다. 수도권이 ‘매우 높음’이고 비수도권은 ‘중간’이다.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이달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뒤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방대본은 직전주(11월 7∼13일) 전국 기준 위험도를 '낮음'이라고 평가했는데 지난주 위험도가 2단계 상승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위험도 역시 각각 직전주 '보통', '매우 낮음'에서 2단계씩 올랐다.
당국은 최근 확진자 발생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현 상황과 같은 확산세가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당국은 이에 핵심 지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병상 회전율을 높이는 한편 병상을 추가로 확보하는 등 의료대응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대책도 다각도로 추진할 예정이다.
그러나 아직 비상조치 발령을 고려하고 있지는 않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현재는 긴급평가나 비상조치 수립 여부는 논의된 바 없다”고 말했다.
이날 브리핑에선 방역패스 유효기간이 처음 언급됐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 방역지표가 매우 빠른 속도로 악화하고 있어 신속한 추가접종과 방역패스의 접종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외국에서는 백신 접종 후 면역력이 유지되는 6∼9개월 정도로 유효기간을 정하고 있고, 이스라엘 등은 추가접종을 방역패스에 연동해 적용하고 있다”며 “전문가들이 방역패스에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줬고, 정부 내에서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윤신 기자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싹 가능!”…카스 0.0, 알코올 걱정 없는 논알콜 캠페인 시작
2한국의 스테이블코인 도입, 은행들이 선도한다
3KGM, ‘2025년 파트너스 데이’ 개최…미래 전략과 동반 성장 비전 제시
4창고43, ‘프리미엄 한우 다이닝’ 정체성 담은 신규 BI 공개
5정상적인 면역기능 돕는 조아제약 '면역칸에스'…하루 1앰플로 간편하게
6글로벌 완성차 전쟁터 ‘서울’...각양각색 ‘브랜드 철학’ 총집합
7서울에서 펼쳐진 ‘모빌리티 미래’...현대차그룹이 주도하는 ‘패러다임’
8“봄엔 솔로탈출 기원” 국민‧하나‧우리 ‘은행판 나는 솔로’ 개최 사연은?
9“더 내려갈 수 있는 거였어?” …또 2500 깨진 코스피에 ‘망연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