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기아, 친환경 SUV '신형 니로' 최초 공개…"1세대 이후 5년 만"

[2021 서울모빌리티쇼] 기아 "내년 상반기 전기차 모델 출시"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테마로 전시관 구성
송호성 사장 "사회적 책임 위해 노력 할 것"

 
 
 
기아의 전용 친환경 SUV 모델인 '디 올 뉴 기아 니로(The all-new Kia Niro)'. [사진 임수빈 기자]
기아가 25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1 서울모빌리티쇼' 프레스 브리핑 자리에서 전용 친환경 SUV 모델인 '디 올 뉴 기아 니로(The all-new Kia Niro·이하 신형 니로)' 처음으로 선보였다. 
 
기아는 신형 니로에 대해 기아의 지속가능한 모빌리티를 위한 비전이 담긴 친환경 SUV 모델이라고 밝혔다. 기아가 신형 니로를 내놓은 것은 1세대 니로 출시 이후 5년만이다. 내년 1분기에 하이브리드(HEV) 모델을 출시하고, 상반기에 전기차(EV) 모델도 선보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카림 하비브 기아 디자인 담당 전무는 "신형 니로는 친환경과 즐거움을 연계한 디자인으로 고객들에게 의미 있는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1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된 신형 니로. [사진 기아]
신형 니로를 살펴보면 전면에선 기아의 시그니처인 타이거 페이스 디자인을 후드에서 펜더까지 확장했다. 측면은 볼륨을 강조했다. 부메랑 모양의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와 통합한 C필러도 눈길을 사로잡았다. 후면은 수직 형태의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적용했다. 
 
기아는 탑승객 시선이 많이 머물고 손이 자주 닿는 부분에 친환경 CMF(Color∙Materials∙Finish, 컬러∙소재∙마감)를 적용했다고 전했다. 
 
이번 모빌리티쇼에서 기아는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테마로 3개의 전시관을 구성했다. ▶신형 니로의 HEV/EV 모델을 볼 수 있는 '이유있는 즐거운 경험, 니로' 공간 ▶기아의 새로운 브랜드 방향성과 디자인 철학 등을 알아볼 수 있는 '기아로의 여정' 공간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기아의 미래 비즈니스 방향성을 경험할 수 있는 '기아의 지속가능성' 공간 등이 이에 해당한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지 재다짐 

 
(왼쪽부터)최준영 기아 경영지원본부장(부사장), 권혁호 기아 국내사업본부장(부사장), 송호성 기아 사장, 카림 하비브 기아 디자인 담당 전무가 신형 니로 공개 행사 이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기아]
송호성 기아 사장은 신형 니로를 공개하기에 앞서 "전기차를 만드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모든 에너지와 재료, 전기차를 사용하면서 생기는 폐배터리 등 전 밸류체인(가치사슬)에서 지속가능성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잔여 탄소배출량은 해양생태계를 활용한 탄소흡수, 즉 블루카본 활동 등을 통해 상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송 사장은 "앞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ESG 경영과 사회가치 창출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6개국 100여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하는 '2021 서울모빌리티쇼'는 오는 26일부터 12월 5일까지 열릴 예정이다.

임수빈 기자 im.subin@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매우 이례적”...전 세계 홀린 테슬라 모델Y

2 당정, 취약계층 130만 가구에 에너지바우처 5만3000원 지원

3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폐지 바람직...상속세도 개편해야”

4노소영 “서울대 학생들 실망...지방대 학생들 감동”

5“물가 올랐는데 급여 제자리”...최저시급 1만1000원 이상 희망

6의협 “정부, 3대 요구안 수용하면 집단 휴진 보류”

7 의협 “증원 재논의 없으면 18일 집단 휴진...오늘밤까지 답 달라”

8해킹 당하고 수년간 몰랐다...태그호이어, 韓 고객정보 2900건 유출

9 정부 “진료거부 장기화로 병원 손실 발생하면 구상권 청구 검토”

실시간 뉴스

1“매우 이례적”...전 세계 홀린 테슬라 모델Y

2 당정, 취약계층 130만 가구에 에너지바우처 5만3000원 지원

3대통령실 “종부세 사실상 폐지 바람직...상속세도 개편해야”

4노소영 “서울대 학생들 실망...지방대 학생들 감동”

5“물가 올랐는데 급여 제자리”...최저시급 1만1000원 이상 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