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썩은 배추’로 김치를…김순자 대표 ‘김치 명인’ 자격 박탈될까
명장이 만드는 김치 한성식품, 위생논란 휩싸여
현장조사나선 농식품부…명인제품 적합 여부 검증

‘전통 명인’ 29호, ‘김치 명인’ 1호…위상 추락
한성식품은 정부가 명인으로 지정한 김순자 대표가 운영하는 기업이다. 1986년 설립돼 2020년까지 500억원대 매출을 꾸준히 내며 각종 특허와 안전한 식품 공장으로 보증하는 해썹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논란은 국민권익위원회에 한성식품 자회사에 대한 공익신고가 접수되면서 시작됐다. 한성식품이 보유한 4곳의 공장 중 충청북도 진천에 위치한 효원 김치공장에서 변색된 배추와 곰팡이가 낀 무 등 불량 재료로 작업하는 모습을 촬영한 영상이 공개됐고, 파장이 커졌다.
해당 공장에서 생산된 김치의 약 70%는 전세계 28개국에 수출되는 수출용이다. 나머지는 국내에서 대기업 급식업체와 서울의 한 종합병원, 유명 리조트 체인 등에 납품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는 홈쇼핑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되기도 했다.
3개 직영 공장도 가동 중단…명인 위상 훼손
위생과 더불어 김 대표는 이번일로 명인의 위상을 크게 손상시켰다는 지적을 받는다. 김순자 명인은 2007년 정부로부터 전통 명인 29호, 김치 명인 1호로 각각 지정됐다. 식품산업진흥법 제14조에 근거한 식품명인 제도는 우수한 우리 식품의 계승과 발전을 위해 시행된다. 현재까지 총 81명이 명인으로 활동 중이다. 국가가 지정하는 식품명인으로 지정되면 정부에서 추진하는 각종 박람회, 전수자 장려 지원금, 체험교육 활동비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
다만 식품 명인 지정이 취소될 지 여부는 더 두고봐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아직까지 정부가 명인 지정을 취소한 사례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설아 기자 kim.seolah@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김수현 "故 김새론과 미성년자때 교제 안 해"
2 '미성년 교제 논란' 김수현 기자회견…故 김새론 관련 입장 표명
3김승연 회장, 세아들에 ㈜한화 지분 11.32% 증여
4임재택 한양증권 대표 “프랜차이즈 밸류 높여 주주가치 제고할 것”
5김영섭 KT 대표 "AICT 기업으로 완전한 변화에 가속화"...43기 주총 개최
6거래량도 ‘트럼프 당선’ 이전으로...관세 불확실성 여파
7 한화 김승연 회장, (주)한화 지분 11.32% 세 아들에 증여
840대 직원도 유튜버로…수협은행, 제5기 ‘Sh크리에이터’ 발대
9해태제과, 지리산 매실 담은 ‘후렌치파이 매실’ 출시…43만개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