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수출·입 물량 및 금액 지수…1월도 높은 상승세 유지

한은 ‘2022년 1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발표
수출물량·금액 지수 각각 1년 전 比 7.7%, 22.4%↑
수입물량지수 10.2%↑ 수입금액지수 34.4%↑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가득 쌓여 있다. [연합뉴스]
올해 1월 수출입 물량지수와 금액지수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수입물량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지난해의 낮은 기저효과 외에도 최근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의 가파른 상승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2년 1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에 따르면 지난 1월 수출물량지수는 122.86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7% 올랐다. 수출물량지수는 지난해 11월인 126.32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지난해 12월 133.01보다 다소 떨어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수출금액지수는 134.94를 기록하며 지난해 동기 대비 22.4% 상승했다. 한은은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화학제품 등이 증가한 영향이라고 밝혔다. 다만 통관금액 중 가격 조사의 어려움으로 수출물가지수에서 제외된 선박, 무기류, 항공기, 예술품 등의 수출금액은 제외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수출물량지수와 수출금액지수가 지난해 동월 대비 기준으로 각각 4개월, 15개월 연속 상승했다고 밝혔다.  
 
1월 수입물량지수는 광산품,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등이 증가해 지난해 동월보다 10.2% 상승한 135.72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수입금액지수도 같은 기간 34.4% 상승한 166.70을 나타냈다. 다만 수입금액지수는 지난해 12월 역대 최대를 기록한 170.58보다 다소 줄었다.  
 
수입물량지수와 수입금액지수는 1년 전 대비 기준으로 각각 17개월, 14개월 연속 오르는 모습이다.  
 
1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89.42를 기록하며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6.8% 하락했고, 소득교역조건지수는 같은 기간 0.3% 오르며 109.86을 기록했다. 


수출입금액·물량지수는 2015년을 기준(100)으로 현재의 수출입금액과 물량을 측정한 것이다.


이용우 기자 lee.yongwoo1@joongang.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농구 선수 허웅, 전 여자친구 고소 “협박·스토킹…마약 연루도”

2택배 기사님 “아파트 들어오려면 1년에 5만원 내세요”

3“응애” 소리 늘까…4월 출생아 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4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5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6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7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8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

9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실시간 뉴스

1농구 선수 허웅, 전 여자친구 고소 “협박·스토킹…마약 연루도”

2택배 기사님 “아파트 들어오려면 1년에 5만원 내세요”

3“응애” 소리 늘까…4월 출생아 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4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5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