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짝퉁 판매에 반품비 논란까지”…신뢰 잃은 발란, 불명예 떨칠까

발란, 반품 정책 개선…과다 부과 반품 사례 전수 조사
부당징수 의심될 시 고객에게 선제적 보상
계속되는 논란…환불규정으로 공정위 조사 받은 적도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구매대행 입점 업체의 과다 반품비 문제 해결에 나섰다. [사진 발란]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구매대행 입점 업체의 과다 반품비 문제 해결에 나섰다. 입점 업체의 반품비에 상한제를 도입하고 과다 부과 반품비 사례를 전수 조사해 고객에게 보상할 것이란 설명이다. 앞서 발란은 불투명한 환불규정에 따른 전자상거래법 위반 혐의로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를 받은 바 있다.
 
발란은 반품비 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관련 정책을 대폭 개선했다고 14일 밝혔다. 발란은 국내외 사업자가 입점해 물건을 판매하는 형식의 플랫폼으로 사업 확장으로 입점 업체마다 반품비가 달라 소비자 혼란이 발생했던 바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발란은 입점 업체와 협의해 실제 반품비를 소비자에게 개별적으로 안내해 왔다는 설명이다.
 
이에 발란은 소비자 변심으로 반품을 하는 경우에도 과도한 반품비로 소비자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반품비 상한제’를 도입하고 과다 부과 업체를 찾아내 시정을 권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소비자 불편을 예방할 수 있도록 입점 업체의 심사 기준을 강화하고, 해외 구매대행 상품의 반품 관련 반송비와 관부가세 등의 상세한 정보를 구매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에 더해 발란은 그동안의 반품비 과다징수 사례를 전수조사해 고객이 부당하게 반품비를 냈다면 이를 개별적으로 알리고 선제적으로 보상할 방침이다. 반품비 부당징수가 의심될 경우 발란 고객센터를 통해 문의하면 된다.
 
박요한 발란 ESG경영실장은 “그동안 발란은 현지 부티크와의 직계약과 글로벌 물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배송기간 단축’, ‘반품교환비 절감’ 등 고객의 럭셔리 쇼핑 혁신을 위해 힘써왔다”며 “반품 과정에서 고객이 불편함이나 부당함을 겪은 부분에 대해 전수 조사를 진행해 세심한 부분까지 정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발란은 반품비 논란에 더해 최근에는 가품을 판매한 것으로 드러나 소비자들의 질책을 받았다. 지난 5월 발란에서 판매한 ‘나이키 에어조던1 x 트레비스 스캇 레트로 하이 모카’ 운동화가 가품으로 드러나면서다. 이는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가 회원 110만여명이 활동 중인 국내 최대 운동화 커뮤니티 ‘나이키매니아’에 관련 글을 게재하면서 알려졌다. 

김채영 기자 chaeyom@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농구 선수 허웅, 전 여자친구 고소 “협박·스토킹…마약 연루도”

2택배 기사님 “아파트 들어오려면 1년에 5만원 내세요”

3“응애” 소리 늘까…4월 출생아 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4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5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

6영천시,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 K-MARKET과 "농특산물 수출 확대" 협약 맺어

7대구시, 경기 화성 배터리공장 화재피해 복구 지원에 1억원 지원

8소방당국, 아리셀에 ‘화재 경고’…‘예방컨설팅’까지 했다

9최태원 동거인 첫 언론 인터뷰 “언젠가 궁금한 모든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실시간 뉴스

1농구 선수 허웅, 전 여자친구 고소 “협박·스토킹…마약 연루도”

2택배 기사님 “아파트 들어오려면 1년에 5만원 내세요”

3“응애” 소리 늘까…4월 출생아 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4책 사이에 숨긴 화려한 우표…알고 보니 ‘신종 마약’

5경북도, K-국방용 반도체 국산화 위해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