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부동산시장 거래 절벽 위기에 매물 중개 앱도 증가세 둔화

[빅데이터로 보는 경제 동향]
올해 주택매매거래량 반토막
다방·직방 중개 앱 수요 주춤

 
 
최근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 여파로 국내 부동산시장에선 거래 절벽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7월 서울 남산에서 본 안개 낀 서울 도심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국토교통부 집계에 따르면 올해 8월 누계 기준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38만5391건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거래량(73만7317건)보다 약 47.7% 줄어든 규모다.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최근 5년여 동안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8월 누계 기준2018년엔 56만7000여건→2019년 44만8000여건→2020년 84만8000여건→지난해 73만7000여건→올해 38만5000여건이다. 집값 폭등으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 구매 열풍이 불었던 2020년과 2021년을 제외하면 올해 거래량은 2018년 거래량의 3분의 2 규모로 줄었다. 
 
올해 8월 국내 부동산 플랫폼 ‘직방’ 애플리케이션(앱)의 기기설치수와 월간사용자수(MAU). [TDI]
특히 수도권의 감소가 크다. 올해 8월 누계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은 15만4448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7.3%, 서울은 4만3818건으로 53.8% 각각 감소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주택 구매 광풍이 불었던 서울 지역의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는 올해 5월 2일 조사 이후 8월 29일 기준 81.8로 17주 연속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수요 위축은 부동산 매물 중개 플랫폼에서도 엿보인다.  
 
올해 8월 국내 부동산 플랫폼 ‘다방’ 애플리케이션(앱)의 기기설치수와 월간사용자수(MAU). [TDI]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가 올해 1~8월 국내 부동산 플랫폼 ‘다방’과 ’직방’ 애플리케이션(앱)의 기기설치수를 분석했다.  
 
직방 기기설치수는 1월 651만1000대→2월 658만7000대→3월 651만7000대→4월 647만7000대→5월 655만2000대→6월 642만5000대→7월 642만2000대→8월 640만4000대로 집계됐다. 기기설치수가 다소 줄었다.  
 
다방 기기설치수는 1월 332만8000대→2월 338만8000대→3월 342만3000대→4월 340만3000대→ 5월 338만9000대→6월 335만4000대→7월 339만4000대→8월 337만2000대로 집계됐다. 기기설치수 증가세가 다소 둔화하고 있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文정부, 102차례 집값 왜곡 지시" 감사원 결과 살펴보니

2트럼프 "하버드는 웃음거리"…38억원 국가보조금 취소

3"그 많던 테무 광고 어디갔지?"…관세전쟁 부메랑

4천일에너지, 화성오산교육지원청과 ‘폐목재 무상 처리’ 맞손

5무신사 주문했더니 '생수·수건·양말'도 배송 왔네...사연 들어보니

6 '피고인' 윤석열 전 대통령 법정 모습 '촬영 허가'

7롯데관광개발, 소방공무원 위한 크루즈 여행 지원한다

8"별장 쉽게 가려고"…포르셰 회장, 산 뚫어 '개인용 터널' 만들려다 '들통'

9세모통, 헬로모바일과 손잡고 알뜰폰 시장 공략 강화

실시간 뉴스

1"文정부, 102차례 집값 왜곡 지시" 감사원 결과 살펴보니

2트럼프 "하버드는 웃음거리"…38억원 국가보조금 취소

3"그 많던 테무 광고 어디갔지?"…관세전쟁 부메랑

4천일에너지, 화성오산교육지원청과 ‘폐목재 무상 처리’ 맞손

5무신사 주문했더니 '생수·수건·양말'도 배송 왔네...사연 들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