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기업 실적 기대감에 뉴욕증시 이틀 연속 상승…다우 1.34%↑

연준 금리 인상 속도조절, 알파벳·애플 등 3분기 호실적 예상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객장에서 트레이더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AFP=연합뉴스]
뉴욕증시가 이틀 연속 상승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상 속도조절 기대감과 함께 이번 주 예정된 기술 기업들의 실적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24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17.06포인트(1.34%) 오른 3만1499.62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4.59포인트(1.19%) 상승한 3797.34,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92.90포인트(0.86%) 오른 1만952.61을 기록했다.  
 
뉴욕증시 상승은 지난 주말 연준의 금리 인상 기조완화 기대감, 대형 IT기업들의 호실적 기대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외신 등에 따르면 11월과 12월에 열리는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연준 내부에서 금리 인상 속도조절에 대한 논의가 나오고 있다는 소식이 나왔다.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오는 12월 FOMC 회의에서 미 연준이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을 약 42%로 내다봤다. 이전 전망 가능성인 66%와 비교하면 크게 낮아진 수준이다. 다만 빅스텝(한 번에 0.5%포인트 인상) 전망은 54%로 34%보다 높아졌다.  
 
그만큼 시장에서는 연준이 물가 상승률이 꺾이기 시작한 데다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연준 내 속도 조절론이 강해진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여기에다 25일에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27일 애플, 아마존 등이 3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이들 기업 시가총액은 S&P500지수의 2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팩트셋에 따르면 지금까지 S&P500 기업의 20%가량이 3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이 중 당기순이익이 시장 기대치를 웃돈 기업은 72%다.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도 주요 기업 실적이 시장의 예상보다 높게 나올 경우 향후 지수 방향도 달라질 것이란 분석이다. 

이용우 기자 yw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러 "북러,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준비 중"

2불붙는 통상분쟁…‘中전기차 관세’ vs ‘EU산 돼지고기 반덤핑’

3구미시, 전국 최초 '일자리 편의점' 문 연다..."일‧가정 양립 선도모델 기대"

4"올 여름 고아라해변에서 특별한 휴가 어때요?" 경주 척사항, 어촌뉴딜 300사업 마무리

5TK신공항 첨단산단에 국내 최초 'SMR' 건설... "경제성 확보는 과제"

6김정숙 여사, ‘인도 방문 의혹 제기’ 배현진 고소

7서울아산병원 교수들, 7월 4일부터 일주일 휴진…“정책 따라 연장 결정”

8푸틴, 24년 만에 방북한다…18~19일 국빈 방문

9 러 “푸틴, 18∼19일 북한 방문”<타스>

실시간 뉴스

1 러 "북러,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 준비 중"

2불붙는 통상분쟁…‘中전기차 관세’ vs ‘EU산 돼지고기 반덤핑’

3구미시, 전국 최초 '일자리 편의점' 문 연다..."일‧가정 양립 선도모델 기대"

4"올 여름 고아라해변에서 특별한 휴가 어때요?" 경주 척사항, 어촌뉴딜 300사업 마무리

5TK신공항 첨단산단에 국내 최초 'SMR' 건설... "경제성 확보는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