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코로나19 반사이익 누린 캠핑 앱, 방역 풀리자 수요 ‘썰물’

[빅데이터로 보는 경제 동향]
설치기기수 2년전보다 20% 넘게 줄어
월간활성사용, 증가세 둔화 일부 감소

 
 
지난해 11월 경기도 과천에서 캠핑을 즐기고 있는 시민들 모습. [연합뉴스]
한국무역통계진흥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캠핑 인구는 지난해 기준 약 700만명으로 추산된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급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캠핑 관련 애플리케이션(앱) 수요도 급증했다. 하지만 정부가 5월부터 방역 지침을 완화하면서 캠핑 앱 사용도 감소하는 모습이다.  
 
빅데이터 전문기업 TDI가 안드로이드 사용자를 기준으로 국내 주요 캠핑 앱에 대한 수요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올해 9월 기준 가장 많이 설치한 캠핑 앱 3개(설치기기수)는 ‘캠핑의 시작은 땡큐캠핑’(34만8900대), 캠핑지도(10만9400대), 캠프링크(8만6100대)다. 
 
땡큐캠핑 설치기기수는 지난해 9월 잠시 주춤했으나 올해 1월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캠핑지도와 캠프링크는 설치기기수가 2년 전에 비해 20% 넘게 줄었다. 2020년 9월 기준 설치기기수가 캠핑지도는 약 15만4000대, 캠프링크는 11만4000대였다. 하지만 1년이 지난 지난해 9월엔 10만 대 밑으로 감소하더니 올해는 8만여대에 머무르고 있다.  
 
월간활성사용자(MAU)도 희비가 갈렸지만 전체적으로는 증가세가 둔화하고 일부에선 감소세를 나타냈다. 땡큐캠핑은 지난해 9월 대비 올해 9월 MAU가 43%→45.1%로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캠핑지도는 20.8%→17.8%, 캠프링크는 26.5%→16.7%로 각각 감소했다.  
 
캠핑 앱 월간활성사용자(MAU). [사진 TDI]
지난해 코로나19가 극성을 부리고 해외 여행길이 끊기면서 국내 캠핑 수요가 급증했으나, 올해는 방역 지침의 완화로 해외여행·대면모임이 늘면서 캠핑 앱 수요가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겨울(12·1·2월)엔 3개 앱 모두 MAU 비율이 크게 줄었다. 1월에 땡큐캠핑는 20.3%, 캠프링크는 8.0%로 1년 중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캠핑지도는 지난해 12월 7.3%에 머물렀다. 하지만 기온이 오르는 3~6월엔 MAU가 증가세를 보였다. 이후 MAU는 무더운 여름엔 감소하다 활동하기 좋은 가을엔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박정식 기자 tango@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상폐 위기 처한 위믹스...김석환 대표 “최선 다해 소명 노력”

2출범 3년간 성장 입지 다진 넥슨게임즈, 신작 투자로 글로벌 도약 노린다

311비트 스튜디오, 미스터리 SF 어드벤처 ‘디 얼터스’ 6월 13일 출시

4라인게임즈, 신작 타이틀 ‘엠버 앤 블레이드’ 최초 공개

5“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인프라”…디지털 자산 정책 골든타임 진입

6매운맛 열풍 때문에...단종 제품 다시 나온다

7"팬들 제보 모여 범인 잡았다"...하이브 아티스트 딥페이크 피의자 8명 검거

8‘강남스타일’에서 ‘금융스타일’로…iM금융, 싸이 광고 온에어

9부동산원, ‘당근마켓’ 허위매물 모니터링 대상에 포함

실시간 뉴스

1상폐 위기 처한 위믹스...김석환 대표 “최선 다해 소명 노력”

2출범 3년간 성장 입지 다진 넥슨게임즈, 신작 투자로 글로벌 도약 노린다

311비트 스튜디오, 미스터리 SF 어드벤처 ‘디 얼터스’ 6월 13일 출시

4라인게임즈, 신작 타이틀 ‘엠버 앤 블레이드’ 최초 공개

5“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인프라”…디지털 자산 정책 골든타임 진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