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한미약품, 스위스 바젤에 오픈이노베이션 센터 열고 개방형 혁신 고삐 죈다

미국에 이어 유럽에도 센터 오픈…미국·유럽 진출 교두보 역할
바젤 SIP…유럽 최대 바이오 클러스터로 꼽혀

 
 
한미약품의 두 번째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 센터가 입주한 스위스 바젤 이노베이션 파크(SIP) 전경. [사진 한미약품]
한미약품은 유럽 최대 바이오 클러스터인 스위스 바젤 이노베이션 파크(Switzerland Innovation Park, SIP)에 오픈이노베이션 센터를 열었다고 31일 밝혔다. 2020년 미국 보스턴 CIC(Cambridge Innovation Center)에 이어 해외에 개방형 혁신 센터를 두 번째 연 것이다.
 
스위스 바젤은 로슈(Roche),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바이엘(Bayer), 론자(Lonza) 등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업과 700여 개의 바이오 테크 기업이 모여있는 유럽 최대 바이오 클러스터다. 이곳에는 3만1000여 명 이상의 연구인력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인프라와 인력이 갖춰져 있어서 유럽 진출의 교두보로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미약품츼 첫 번째 오픈이노베이션 센터가 입주한 보스턴 CIC는 국내 제약·바이오기업이 잇따라 진출하고 있다. 2019년 GC녹십자와 유한양행을 시작으로 대웅제약과 한미약품 등이 입주를 완료했다. 1000여 개 제약·바이오기업이 입주해 세계 최대 바이오 단지로 꼽힌다.
 
한미약품은 보스턴 CIC를 통해 미국 기업과 네트워크 및 협업을 강화하고 있다. 바젤 SIP를 중심으로 미국과 유럽 기업과 네트워크와 협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라이선스 인 앤 아웃의 파트너십도 추진하게 된다.
 
한미약품은 매년 유럽암학회(ESMO), 유럽당뇨학회(EASD), 유럽간학회(EASL) 등 주요 국제학회에서 자체 파이프라인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이번 오픈이노베이션 센터 오픈으로 유럽 내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은 “차세대 신약개발이 이뤄지고 있는 스위스 바젤에 글로벌 진출 거점을 마련하게 돼 뜻깊다“며 “이 바이오 클러스터에 있는 혁신 바이오기업들과 협업 모델을 구축해 의학적 언맷니즈가 있는 질병 치료제와 차세대 항암 및 희귀질환 치료제를 선도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영진 기자 choiyj73@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2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3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4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5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

6 美국무부...尹파면 "한국의 민주제도·헌재 결정 존중"

7두나무 예수부채 8조원 돌파…증권사급 자산 몰렸다

8탄핵 정국 해소 불구 관세 공포에 ‘롤러코스터’ 장세

9 조두순, 하교 시간대 또 거주지 무단이탈

실시간 뉴스

1‘오사카·간사이 엑스포’ 키워드는 ‘친환경’…입장권 판매 여전히 저조

2 미증시 급락에 암호화폐 반등, 리플 4% 올라

32017년 영화 '리얼'의 OTT 순위권 진입?...김수현, 논란에 또 논란

4미국만 잘 살겠다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5파푸아뉴기니 뉴브리튼섬 인근 규모 7.2 지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