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이어 4분기도 ‘부진’…철강업계, 실적 개선 시점은
철강 시황 침체에 파업 타격까지 ‘휘청’

2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이날 기준으로 포스코홀딩스의 4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8407억원으로 집계됐다.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9195억원)보다 감소한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하는 증권사가 많다는 얘기다. 증권사 전망치대로 실적을 기록하면, 포스코홀딩스는 2분기 연속으로 1조원에 미치지 못하는 분기 영업이익에 머무르게 된다.
같은 기준으로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의 4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각각 3242억원, 1531억원으로 나타났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의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각각 3730억원, 1485억원으로 3분기보다 소폭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수준의 4분기 영업이익이 예상되는 셈이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의 3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3분기보다 50% 이상 급감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실적 개선은 어렵다는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15일 보고서에서 현대제철의 4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318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실적 부진 이유에 대해서는 “노동조합 파업과 화물연대 파업에 따라 공장 가동과 제품 출항에 난항을 겪은 데다, 건설 경기 부진이 지속돼 판매량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판매량 감소에 따른 고정비 증가가 예상되고, 포항공장 수해 복구 추가 비용 약 300억원이 반영될 예정”이라고 진단했다.
내년 반전 가능성은
실제 포스코는 포항제철소 압연공장 중 핵심인 2열연공장을 지난 15일부터 재가동하는 등 빠른 속도로 포항제철소를 정상화하고 있다. 2열연공장을 포함해 포항제철소 18개 압연공장 중 13개 공장이 정상 가동 중이며, 12월 말 스테인리스 2냉연공장, 1전기강판공장을 가동해 전 제품 공급 체계를 갖출 것으로 보인다. 포스코는 내년 1월 내 도금공장, 스테인리스 1냉연공장을 차례로 재가동해 포항제철소 복구를 완료한다는 목표다.
이창훈 기자 hun88@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文정부, 102차례 집값 왜곡 지시" 감사원 결과 살펴보니
2트럼프 "하버드는 웃음거리"…38억원 국가보조금 취소
3"그 많던 테무 광고 어디갔지?"…관세전쟁 부메랑
4천일에너지, 화성오산교육지원청과 ‘폐목재 무상 처리’ 맞손
5무신사 주문했더니 '생수·수건·양말'도 배송 왔네...사연 들어보니
6 '피고인' 윤석열 전 대통령 법정 모습 '촬영 허가'
7롯데관광개발, 소방공무원 위한 크루즈 여행 지원한다
8"별장 쉽게 가려고"…포르셰 회장, 산 뚫어 '개인용 터널' 만들려다 '들통'
9세모통, 헬로모바일과 손잡고 알뜰폰 시장 공략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