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확풀리는 노·도·강 다시 영끌족 부추길까 [국토부 업무계획] ③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규제지역 해제
고금리 부담에 영끌족 부담 늘며 매수세 주춤
규제해제에 시장 들썩일 수 있으나 영향 단기간 제한적

 
 
서울 노원구 일대의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영끌족 성지로 불리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이 서울 내 규제지역 해제로 다시 들썩일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국토교통부는 전날 주거정책심의위원회(주정심)를 열고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를 제외한 전 지역의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을 해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규제지역 해제는 오는 5일 0시부터 효력이 발생된다.
 
업계에서는 집값 하락세가 컸던 노·도·강 등 서울 외과지역부터 규제가 완화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KB국민은행 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1년 19.94% 올랐던 도봉구 아파트값은 작년 6.40% 하락했다. 같은 기간 23.64% 올랐던 노원구는 5.63% 떨어졌고, 관악구는 13.91%에서 -3.41%를 기록했다.  
 
최근 고금리 부담에 집값 고점 인식이 강해지면서 집값 하락세가 가팔라 진 것이다. 대출 금리에 민감한 중저가 아파트 밀집 지역의 매수심리가 얼어붙으면서 급급매만 겨우 거래되고, 시장에서는 대출로 구입 자금을 대부분 마련한 영끌족을 걱정하는 시선이 팽배해졌다.  
 
다만 이번 규제지역 해제로 청약, 전매제한, 대출, 세제 등 부동산을 사고파는 전 과정에서 규제가 완화되면서 노·도·강 일대가 또다시 들썩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실제 최근 부동산 경착륙을 막기 위한 정부의 규제완화책에 서울 지역 아파트에 대한 2030 매입 움직임도 다시 들썩이기도 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9월 2030세대의 서울 아파트 매입 건수는 총 297건으로 전체 거래량(856건)의 34.7%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5월(37.4%) 이후 넉 달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지역별로는 노·도·강 지역의 2030 매입 비중이 다시 눈에 띄게 급증했다. 최근 아파트값 하락폭이 큰 노원구와 도봉구는 2030 매입 비중이 지난해 8월 각각 24.4%, 38.2%에서 9월에는 46.7%, 57.7%로 확대된 바 있다.  
 
앞서 서울 아파트 2030세대 매입 비중은 지난해 4월 42.3%까지 치솟은 뒤 증가와 감소를 거듭하다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폭이 가팔라지면서 지난해 6월(24.8%)과 8월(28.6%)에는 각각 20%대로 떨어졌다.  
 
감소세였던 2030 비중이 다시 높아진 것은 극심한 거래 침체 속에 생애최초 주택구입자를 대상으로 금융규제를 일부 완화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정부는 지난해 8월부터 생애최초 주택 구매자에 대해 주택 소재지나 주택 가격에 상관없이 LTV(주택담보대출비율) 상한을 80%까지 상향하고, 대출한도는 기존 4억원에서 6억원으로 확대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이번 규제지역 추가 해제로 당장 시장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란 관측이다. 서진형 경인여대 MD상품기획비지니스학과 교수는 “부동산 규제지역을 푼다고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시장에 미치는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며 “고금리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 이제 대내적인 변수들을 좀 조절을 해서 경착륙을 예방하는 데는 조금 도움이 될 것”이다고 예상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작년까지 노도강이 정말 많이 급등을 했지만 지난 1년 동안 아직 올라간 만큼은 좀 빠지지는 못했다”며 “지금은 노도강뿐만 아니라 규제 지역에서 해제된다 하더라도 집값이 하락하고 있는 원인인 금리나 거시경제 같은 변수가 아직 계속 그대로 유지가 되고 있어서 시장이 반등할 만큼 그렇게 큰 변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조치로 조금 적체되고 있던 매물이 소진될 수 있는 긍정적인 부분이 기대가 되긴 한다”고 덧붙였다.  

이승훈 기자 wavelee@edaily.co.kr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공공기관장 평균 연봉 1.8억...상위권 '국책은행' 집중

2도입 10년 넘었는데...가족돌봄휴가, 직장인 대부분 못쓴다

3'합정역~동대문역' 오가는 심야 자율주행버스, 7월부터 유료화

4LH "출범 이후 최대 규모 청년주택 공급 예정"

5'뉴진스님' 윤성호가 해외 비판 여론에 보인 반응

6여전업계, 2000억원 규모 ‘여전업권 PF 정상화 지원 2호 펀드’ 조성

7강남 아파트 방음벽으로 돌진한 SUV...무슨 일?

8머스크 "슈퍼 충전소 확대 위해 5억 달러 이상 투자"

9티백·동전·비건…세계로 뻗어나가는 ‘K-조미료’

실시간 뉴스

1공공기관장 평균 연봉 1.8억...상위권 '국책은행' 집중

2도입 10년 넘었는데...가족돌봄휴가, 직장인 대부분 못쓴다

3'합정역~동대문역' 오가는 심야 자율주행버스, 7월부터 유료화

4LH "출범 이후 최대 규모 청년주택 공급 예정"

5'뉴진스님' 윤성호가 해외 비판 여론에 보인 반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