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명 중 2명은 ‘나쁜 집주인’…지난해 떼인 전세금만 4400억
사고액 4년 만에 146배 증가
악성 임대인 명단 공개 법안은 국회 계류 중
[이코노미스트 윤형준 기자] 지난해 ‘악성 임대인’ 227명이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아 발생한 보증 사고액이 44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보증금을 제때 받지 못해 보증기관에 대신 돌려달라고 신청한 세입자 5명 중 2명(37%)꼴로 악성 임대인에게 피해를 봤다.
2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집중관리 다주택 채무자’의 보증사고 액수는 지난해 438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보다 827억원(23%) 늘어난 규모다.
HUG는 전세금을 3번 이상 대신 갚아준 집주인 중 연락이 끊기거나 최근 1년간 보증 채무를 한 푼도 갚지 않은 사람을 집중관리 다주택 채무자로 관리한다. 이른바 ‘악성 임대인’이다.
지난해 227명이 악성 임대인 명단에 올랐는데, 이들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내주지 않아 HUG에 갚아달라는 신청이 들어온 금액이 연간 4400억원에 달한 것이다. 임대인 1인당 19억원씩 떼먹은 셈이다.
악성 임대인의 보증 사고액은 해가 갈수록 늘고 있다. 2018년 30억원이었으나 2019년 504억원, 2020년 1871억원, 2021년 3555억원으로 뛰었다. 사고액이 4년 만에 146배 증가한 것이다.
악성 임대인들의 보증사고는 전체 사고액의 상당 부분을 차지해 관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지난해 HUG의 전세보증금 반환 사고 규모는 1조1726억원, 주택 5443가구였다. 이 중 악성 임대인 보유 주택이 37%(2037채)를 차지했다.
악성 임대인들의 보증사고는 다세대주택과 오피스텔에 집중됐다. 다세대주택이 보증사고액의 64.5%(2828억원), 오피스텔은 25.0%(1094억원)를 차지했다. 아파트는 7.0%(307억원), 연립은 3.1%(137억원)를 차지했다.
특히 악성 임대인들이 보유한 오피스텔 보증 사고액이 최근 가파르게 늘었다. 다세대주택 보증 사고액은 2021년 2689억원에서 지난해 5.2%(139억원) 증가했으나 오피스텔 사고액은 같은 기간 378억원에서 2.9배 늘었다.
보증사고 금액이 554억원으로 가장 많아 명단 첫 번째 줄에 이름을 올린 1위 악성 임대인의 경우 오피스텔 사고액이 264억원(121건)으로 다세대주택(245억원·114건)보다 많았다. 2위 악성 임대인도 오피스텔 사고액이 189억원(86건)으로 다세대주택(165억원·82건)보다 많았다.
전세사기를 막기 위해 정부는 지난해 7월 악성 임대인 명단을 공개하겠다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명단 공개 내용을 담은 주택도시기금법 개정안은 개인정보보호와 신용정보보호법과의 상충 문제 등으로 아직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이달 말 신축 빌라 시세, 위험 매물 정보 등을 담은 ‘안심전세 앱’을 출시할 예정이지만, 근거법이 마련돼야 당초 넣기로 했던 악성 임대인 명단을 제공할 수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내 버스 언제오나” 폭설 퇴근대란에 서울 지하철·버스 증회 운행
2안정보다 변화…이환주 KB라이프 대표, 차기 국민은행장 후보로
3 KB국민은행장 후보에 이환주 KB라이프 대표
4한스미디어, ‘인공지능 마케팅’ 기술 담긴 ‘AI로 팔아라’ 출간
5포스코, 포항에 민·관·연 협력 ‘대규모 바다숲’ 조성
6삼성바이오로직스, 내년 3월 ADC 사업 추진…수주 전략은
7"기준금리 인하할까"...내일 한은 금통위 앞두고 전문가 83%는 '이것' 예상
8“초코파이는 빼고”…오리온, 13개 제품 가격 10.6% 인상
9고현정, 전 남편 언급? "아들·딸과 연락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