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이자·배당소득 모두 비과세...혜택 요건은?
6월 출시하는 청년도약계좌...이자·배당소득 비과세 혜택
총급여 75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이하 청년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된 상품으로, 청년이 5년 만기로 매달 40만~70만원씩을 입금하면 정부가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최대 6%를 매칭지원금으로 입금하고 이자·배당소득도 과세하지 않는다.
대신 청년(19세 이상 34세 이하)이 가입해야 하고, 해당 나이의 가입자 중에서도 각자의 소득 기준선에 따라 청년도약계좌의 혜택 중 하나인 정부 매칭 지원금 여부가 달라진다.
우선 입금액에 상응해 정부의 매칭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계층은 소득 6000만원 이하이면서 가구소득이 중위 180% 이하인 청년이다.
대신 이자·배당소득에 대한 비과세 기준선은 총급여 75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6300만원 이하인 청년이라면 모두 관련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즉 소득이 6000만원 이하이면서 가구소득 중위 180%인 사람은 정부의 매칭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고, 6000만원 초과 7500만원인 사람은 정부의 매칭 없이 비과세 혜택만 가능하다.
비과세 납입한도는 연 840만원이다. 다만 의무가입 기간 내 계좌를 인출·해지할 경우 세금 감면액을 추징한다. 가입자의 사망이나 해외이주, 천재지변, 퇴직, 질병, 생애최초 주택 구입 등 사유가 있을 경우 예외로 인정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어서와, 서울은 처음이지’...이케아, 10년 만에 도심 속으로
2미래에셋, TIGER ETF 2종 명칭 변경
3신한투자증권, 美 AI 애드테크 밸류체인 기업 몰로코 투자금 회수 완료
4iM뱅크·무보, 800억원 규모 ‘수출 패키지 우대금융지원 협약’
5하나생명·하나금융티아이 신입사원, 영종도 해안 플로깅 활동
6하나은행, ‘2025 어린이 바둑 페스티벌’ 개최…참가자 선착순 모집
7“신짜오” 신한은행, 외국어 고객상담센터 주말 운영 확대
8DB손해보험, 산불 피해지역에 긴급 구호물품 지원
9“삶에 벌어지는 다양한 일을 돌파하는 데 이 책이 도움을 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