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은행원이 폭로합니다”… 유튜브 악용한 ‘은행 사칭’ 피싱 사이트 기승

허위 재태크 동영상으로 피싱 사이트 유인
금감원 “유튜브 영상을 통해 무작위로 접근”

피싱사이트 유포 유튜브 동영상 썸네일 [금융감독원 제공]
[이코노미스트 이혜리 기자] 유튜브에서 은행 직원을 사칭해 자금을 편취하는 사례가 늘고 있어 금융감독원이 1일 소비자 경보를 발령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사기범은 구독자 수가 많은 유튜브 채널을 100만원 이하의 가격에 구매하거나 해킹한 뒤 가짜 재테크 동영상을 올렸다.

해당 동영상에는 은행 직원을 사칭한 배우가 출연해 가짜 예·적금 상품을 홍보했다.

‘은행원이 폭로합니다. 남다른 저축으로 더 많은 이자 받기 지금 시기가 적기입니다’ 등의 자극적인 영상 제목과 허위 댓글들로 소비자를 현혹해 실제 은행과 유사한 피싱 사이트로 접속하게 한 것으로 드러났다.

피싱 사이트에 예·적금 가입 시 필요하다며 연락처와 은행 계좌 정보 등 개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했으며 예치금을 가상 계좌에 입금하도록 유도했다.

금감원은 금융회사를 사칭한 인터넷 사이트에서 불필요한 개인정보를 요구하고 가상 계좌로 이체를 요청하는 경우 무조건 거절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금융사기 피해 발생 시 금융회사 콜센터 또는 금융감독원에 전화해 해당 계좌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금감원은 “기존 금융회사 사칭 피싱 사이트는 이메일, 메신저 등 개별적으로 전달됐으나 이번 사례는 유튜브 영상을 통해 무작위로 접근했다는 데 차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빌게이츠 “5년 이내 상용화” 발언에...양자컴株 활활

2“미국에 내고 나이 들어 또 내고” 연금계좌 해외주식ETF 배당 이중과세 논란

3‘미래 핵심기술 확보 가속화’…현대건설, 김재영 서울대 연구부총장 영입

4시동 걸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보관 탱크 해제...13일 시작

5“불법 스트리밍 172만회 조작”…영탁 전 소속사 대표 징역 8개월

6尹 초래한 의료대란...지난해 혈세 '3조3000억원' 출혈

7“엄마·아빠랑 자주 갔는데”...패밀리 레스토랑 TGI 사라진다

8카카오페이, ‘티메프’ 악재 여파에도…실적 발표하자 주가 ‘쑥’

9트럼프 행정부 출범해도…기업 절반 “美 보편관세 영향 적어”

실시간 뉴스

1빌게이츠 “5년 이내 상용화” 발언에...양자컴株 활활

2“미국에 내고 나이 들어 또 내고” 연금계좌 해외주식ETF 배당 이중과세 논란

3‘미래 핵심기술 확보 가속화’…현대건설, 김재영 서울대 연구부총장 영입

4시동 걸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보관 탱크 해제...13일 시작

5“불법 스트리밍 172만회 조작”…영탁 전 소속사 대표 징역 8개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