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 ‘방판’ 문전성시…연금가입 가장 많아
방문판매법 개정 이후 석달간 방문영업 63% 늘어
퇴직금 유입·금리 변동으로 연금가입 증가
[이코노미스트 마켓in 허지은 기자] 한국투자증권은 방문영업을 통한 금융투자상품 판매가 크게 늘었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12월 방문판매법 개정 이후 방문영업을 통한 연금가입, 계좌개설 등이 활발해졌다는 설명이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의 전체 방문영업 건수를 집계한 결과 방문판매법 개정 전 3개월에 비해 63% 증가했다고 밝혔다.
방문영업 유형은 연금가입 68%, 계좌개설 20%, 채권매수 8% 순으로 나타났다. 회사 관계자는 “연말 퇴직금 유입과 금리변동의 영향으로 연금가입이 많았던 것 같다”고 분석했다.
앞서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2017년 영업직원이 태블릿PC를 고객상담에 활용하는 방문영업시스템을 도입했다. 이후 업계 최초로 계좌개설 및 상품가입 시스템을 적용하여 고객과 직원의 편의성을 높였다.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 녹취 시스템을 개선하고, 고객이 방문 예정 직원 및 일정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사전 안내 시스템을 마련했다. 방문판매 규정 사내교육과 관련 태스크포스팀(TFT)을 통해 소비자 보호와 고객 편의성을 꾸준히 증대시키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방문판매 서비스의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여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지점에 방문한 것과 같은 수준의 서비스를 경험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2월까지의 전체 방문영업 건수를 집계한 결과 방문판매법 개정 전 3개월에 비해 63% 증가했다고 밝혔다.
방문영업 유형은 연금가입 68%, 계좌개설 20%, 채권매수 8% 순으로 나타났다. 회사 관계자는 “연말 퇴직금 유입과 금리변동의 영향으로 연금가입이 많았던 것 같다”고 분석했다.
앞서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2017년 영업직원이 태블릿PC를 고객상담에 활용하는 방문영업시스템을 도입했다. 이후 업계 최초로 계좌개설 및 상품가입 시스템을 적용하여 고객과 직원의 편의성을 높였다.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 녹취 시스템을 개선하고, 고객이 방문 예정 직원 및 일정에 대한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사전 안내 시스템을 마련했다. 방문판매 규정 사내교육과 관련 태스크포스팀(TFT)을 통해 소비자 보호와 고객 편의성을 꾸준히 증대시키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방문판매 서비스의 수준을 지속적으로 높여 고객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지점에 방문한 것과 같은 수준의 서비스를 경험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월가 족집게’ 마이크 윌슨 “3개월간 美 증시 약세 불가피”
2악성 미분양 쌓인다...10년 만에 2만가구 '훌쩍'
3'구준엽 아내' 故 서희원 1,200억 유산 향방은…"법적 분쟁 가능성도"
4“담배연기 없는 세상 위해”...한국필립모리스, ‘아이코스 일루마 아이’ 시리즈 출시
5서울시, 규제철폐 1호 '용도비율완화' 신속 가동
6“네이버, AI 사업 본격 드라이브”...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복귀 소식에 ‘들썩’
7가공식품 및 외식물가 고공행진…재료값·배달앱 수수료 인상 영향
8대신증권, 6일 AI 대표기업 주제로 라이브 세미나 진행
9교보증권, 서울대 KDT 과정 우수 프로젝트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