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롯데바이오로직스, 美 시러큐스 공장에 ‘롯데’ 현판 달았다

임직원 500여 명 참석…브랜드 입지 강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영상 통해 인사말

롯데바이오로직스가 미국 뉴욕주에 있는 시러큐스 공장에서 현판식을 진행했다. [사진 롯데바이오로직스]
[이코노미스트 선모은 기자] 롯데바이오로직스는 17일(현지시각) 미국 시러큐스 공장의 인수를 기념해 현판식을 열었다고 18일 밝혔다. 회사 측은 “미국 생산기지의 새 출발을 알리고 현지 브랜드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행사”라고 설명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뉴욕주의 시러큐스 공장에서 진행됐다. 현지 임직원 500여 명과 이원직 롯데바이오로직스 대표, 마이클 하우슬레이던 미국 법인장 등이 행사에 참석했다. 이훈기 롯데지주 경영혁신실장과 라이언 믹맥 오논다가 카운티장, 벤 월시 시러큐스 시장, 켄트 시버루드 시러큐스대 총장 등 70여 명도 행사장을 찾았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오프닝 영상을 통해 시러큐스 임직원들에게 응원과 격려의 인사말을 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국내에 36만ℓ 생산 규모의 메가플랜트를 조성해 한미 양국에서 바이오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 대표는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위탁개발생산(CDMO)뿐 아니라 바이오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했다. 이를 위해 중소 바이오기업들과 상생할 수 있는 ‘바이오벤처 이니셔티브’(Bio-Venture Initiative) 프로그램을 추진할 예정이다.

하우슬레이던 법인장은 “1943년 페니실린 공장에서 시작한 시러큐스 공장은 최근까지 업계를 대표하는 바이오의약품 생산 기지로 명성을 이어왔다”며 “지자체 및 협력사와 소통하며 롯데바이오로직스의 북미 센터로 거듭날 것”이라고 했다.

롯데바이오로직스는 시러큐스 공장에 추가적인 시설 투자를 단행할 계획이다. 시러큐스 공장은 3만5000ℓ의 항체의약품 원액(DS)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이다. 4800만 달러(약 633억원) 규모를 투자해 생산 설비를 확대하고 70여 명을 추가 채용해 완제의약품(DP), 항체-약물 중합체(ADC) 등으로 분야를 확장한다는 구상이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

6"갤럭시 S25, 기다려라"...AI 기능 담은 '아이폰 SE4' 출시 임박, 가격은?

7‘농약 우롱차’ 현대백화점 “환불 등 필요한 모든 조치”

8작년 배당금 ‘킹’은 삼성 이재용…3465억원 받아

9유럽, 기후변화로 바람 멈추나…풍력 발전 위협

실시간 뉴스

1지난해 국립대병원 10곳, 적자 규모 5600억원 달해

2제주서 잡힌 ‘전설의 심해어’ 돗돔... 크기가 무려 183cm

3못 말리는 한국인의 홍삼 사랑...홍삼원 '1000억 메가 브랜드' 됐다

4상위 1% 부자 되는 법은…“30대엔 몸, 40대엔 머리, 50대엔 ‘이것’ 써라”

5쿠팡이츠, 상생 요금제 도입…매출 하위 20% 수수료 7.8%p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