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릿지바이오,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전임상 결과 공개
미국암연구학회 포스터 발표
지난해 발표에 동물실험 추가
“올해 임상 1상 진입 목표”

이번에 공개한 연구 결과는 BBT-207의 항종양 효력과 뇌전이 억제 효과, 뇌전이 동물 모델에서의 생존율 개선 데이터와 관련한 전임상 결과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지난해 열린 AACR에서 BBT-207의 전임상 결과를 포스터로 발표했는데, 이후 동물실험을 추가로 진행해 효력 데이터를 얻었다.
연구 결과, 3세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저해제인 오시머티닙을 1차 치료제로 복용했을 때 내성으로 나타나는 이중 돌연변이를 가진 DC(Del19·C797S) 모델에서 BBT-207을 투약한 실험군의 종양 크기는 기저 시점보다 88% 이상 줄어들었다.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관계자는 “치료가 어렵다고 알려진 LC(L858R·C797S) 모델에서도 종양이 줄어들었고, 환자 유래 종양을 이식한 동물 모델에서도 BBT-207이 오시머티닙보다 우수한 효력을 용량 의존적으로 나타냈다”고 했다.
회사는 환자에게서 유래한 폐암 세포 기반 동물 모델로 실험했을 때 BBT-207 투여군이 대조군보다 약물의 뇌전이 억제 효과도 높게 나타났다고 했다. BBT-207를 투약하고 3주가 지난 경우에도 저용량군과 고용량군의 생존율이 각각 75%와 100%를 보였다고 했다. 대조군의 생존율은 25%에 불과했다.
회사 측은 “지난달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BBT-207의 임상 1·2상 시험계획(IND)을 제출했다”며 “올해 안으로 환자 대상 임상에 신속히 진입해 환자들에게 좋은 치료 방법을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 경찰, 서울 '을호비상' 해제…'경계강화'로 조정
2“감정이 ‘롤러코스터’ 탄다”…조증과 울증 사이 ‘양극성 장애’
3아동성착취물 6개국 특별단속 435명 검거…“10대 57%, 가장 많아”
4 尹, 관저서 나경원 만났다…“어려운 시기에 고맙다”
59급 공무원 필기 응시율 또 떨어졌다…3년 새 ‘최저’
6 野 “韓대행, 대선일 신속히 공표해야”
7“은퇴 이후에도 취업 프리패스”…5060 몰리는 이 자격증은
8국민연금만 ‘月 543만원’ 받는다…‘역대급’ 수령한 부부 비결 봤더니
9“한국은 25%, 기본 10%”…트럼프발 전세계 ‘관세 폭탄’ 터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