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항암제·유방암 신약…‘항암제 올림픽’ ASCO서 주목할 임상은
MSD, 폐암 수술 전으로 키트루다 활용 범위 확대
지난해 ASCO 달군 엔허투…고형암 대상 연구 ‘착착’

미국 머크(MSD)는 기적의 항암제로 불리는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와 관련한 연구 결과를 여러 건 발표할 예정이다. 2기 또는 3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키트루다를 투여한 KEYNOTE-671 연구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키트루다와 항암화학요법을 사용하다 수술 후 보조요법으로 키트루다를 투여한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약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일부 환자는 항암화학요법과 위약(가짜약)을 투여받았고 수술 이후 위약을 사용했다.
이 연구가 주목받는 이유는 MSD가 임상에 성공한다면 환자들이 수술 전에도 키트루다를 보조요법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현재 조기 폐암 환자는 수술 전 미국의 브리스톨마이어스큅(BMS)과 일본 오노약품공업이 공동 개발한 면역항암제 ‘옵디보’만 보조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키트루다는 수술 후에만 보조요법으로 쓰이고 있어 이번 발표에서 우수한 연구 결과가 공개되면 약물의 활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노바티스는 진행성·전이성 유방암 치료제 ‘키스칼리’(성분명 리보시클립)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로 이목을 끌 예정이다. 유방암은 간이나 늑막, 림프절 등으로 전이되는데 기존 조기 유방암 치료제인 ‘버제니오’(성분명 아베마시클립)'는 재발 위험이 큰 림프절 양성 환자만 쓸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노바티스는 암세포의 림프절 침범 여부와 상관없이 조기 유방암 환자가 키스칼리를 쓸 수 있도록 이번 연구를 추진했다. 버제니오보다 약물의 활용 범위가 넓어 임상의 성공 여부가 기대되는 연구 중 하나다.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는 항체-약물 중합체(ADC) 방식의 항암제 ‘엔허투’(성분명 트라스투주맙데룩스테칸)로 다시 ASCO를 찾는다. 두 회사는 지난해 열린 ASCO에서 엔허투의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한 뒤 박수갈채를 받았다. 전이성 유방암 환자의 절반 이상이 해당하는 HER2 저발현 환자에게 엔허투를 투여했더니 기존 항암화학요법과 비교해 질병의 진행이나 사망 위험이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아스트라제네카와 다이이찌산쿄는 엔허투를 유방암 외 다양한 암종에서 활용하기 위해 여러 연구를 진행 중이다. 올해 ASCO에서는 HER2가 발현한 전이성 고형암 환자에게 엔허투를 투약한 연구 결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이 연구에는 담도암과 방광암, 자궁경부암, 췌장암, 난소암 환자가 참여했다. 엔허투는 현재 유방암과 위암 치료제로 쓰이고 있는데 이번 발표를 통해 적응증을 확대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회사는 올해 3월 연구 결과의 일부를 공개하며 1차 평가지표 중 하나인 객관적 반응률(ORR)을 충족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싹 가능!”…카스 0.0, 알코올 걱정 없는 논알콜 캠페인 시작
2한국의 스테이블코인 도입, 은행들이 선도한다
3KGM, ‘2025년 파트너스 데이’ 개최…미래 전략과 동반 성장 비전 제시
4창고43, ‘프리미엄 한우 다이닝’ 정체성 담은 신규 BI 공개
5정상적인 면역기능 돕는 조아제약 '면역칸에스'…하루 1앰플로 간편하게
6글로벌 완성차 전쟁터 ‘서울’...각양각색 ‘브랜드 철학’ 총집합
7서울에서 펼쳐진 ‘모빌리티 미래’...현대차그룹이 주도하는 ‘패러다임’
8“봄엔 솔로탈출 기원” 국민‧하나‧우리 ‘은행판 나는 솔로’ 개최 사연은?
9“더 내려갈 수 있는 거였어?” …또 2500 깨진 코스피에 ‘망연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