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

퇴직 전 ‘녹음기’ 들고 다녔더니…‘해고갑질’ 피하려면 이렇게

“사직서 내는 순간 해고 시 사용자 의무 사라져”
노동자 13%, 의지와 무관한 실직 경험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한 구직자가 일자리 정보 게시판을 살피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다운 기자] 직장인 10명 중 1명 이상이 의지와 무관하게 실직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의 압박에 퇴사할 때 스스로 사직서를 내 ‘자진 퇴사’를 하는 것을 피해야 하고, 증거 확보를 위해 녹음을 하는 것도 좋다는 조언이 나왔다.

시민단체 직장갑질119는 노동자들이 회사의 '해고 갑질'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며 해고와 권고사직 구분 등 대처방안을 11일 제시했다.

직장갑질119는 퇴사 시 기억해야 할 내용으로 ▲재직 중 녹음기 사용 ▲사직서 서명 전 실업급여 등 확인 ▲권고사직 시에도 고용보험 신고 요구 ▲각서(부제소특약)에 서명하지 말 것 ▲퇴사 30일 전 통보 등을 제안했다.

권고사직은 회사가 사직을 먼저 권하고 노동자가 이에 동의한 경우다. 해고와 달리 사직서를 작성하고, 자진 퇴사와 달리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사직을 권고해놓고 근로복지공단에는 ‘자진 퇴사’로 신고하는 경우가 있다. 해고나 권고사직을 하면 정부 지원금 등 각종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서다.

직장갑질119는 “적지 않은 회사가 해고나 권고사직 대신 직원을 괴롭혀 견디다 못해 스스로 사직서를 작성하도록 압박한다”며 “사직서를 내는 순간 해고 시 사용자 의무와 해고·권고사직시 발생하는 노동자의 권리가 사라진다”고 전했다.

또한 ‘회사를 상대로 한 소송을 포기한다’는 내용의 부제소 확약서나 각서를 쓰라고 압박해도 서명하지 말라고 조언했다.

직장갑질119는 “본인이 원하지 않을 경우 절대 사직서나 각서에 서명해선 안 되며 노동자를 지켜주는 건 결국 증거이므로 필요시 녹취할 수 있게 녹음기를 지녀야 한다”고 말했다.

직장갑질119와 사무금융우분투재단이 함께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 3월 직장인 1000명에게 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13.7%가 ‘2022년 1월 이후 의지와 무관한 실직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실직 사유는 계약기간 만료(29.2%), 권고사직·정리해고·희망퇴직(25.5%), 비자발적 해고 (23.4%) 순이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뉴스

1KB증권, 올해 1분기 중개형 ISA 가입금액 230% 증가

2日골든위크·中노동절 기간, 외국인에 사랑받은 국내 토종 여행앱은?

3 대통령실, 라인 사태에 "우리 기업 불합리 처분 없게 지원"

4CJ올리브네트웍스, ‘뉴비전’ 선포하고 새로운 도약 나선다

5KB자산운용, 원자력 산업 투자 가이드북 발간

6산업은행, ‘KDB NextONE 부산’ 신규 런칭…스타트업 15개사 선발

7정은보 이사장, ‘밸류업 프로그램’ 일본·뉴욕 소통 직접 나서

8고개 드는 ‘영끌족’…4월 가계대출 5.1조원 증가 전환

9정완규 여신금융협회장, 민관 노하우 아울러 여전업 부흥 꾀한다

실시간 뉴스

1KB증권, 올해 1분기 중개형 ISA 가입금액 230% 증가

2日골든위크·中노동절 기간, 외국인에 사랑받은 국내 토종 여행앱은?

3 대통령실, 라인 사태에 "우리 기업 불합리 처분 없게 지원"

4CJ올리브네트웍스, ‘뉴비전’ 선포하고 새로운 도약 나선다

5KB자산운용, 원자력 산업 투자 가이드북 발간